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세대출 올 들어 3조5000억 '급증'…"금리인하로 더 늘듯"


입력 2016.06.13 10:04 수정 2016.06.13 11:12        박민 기자
(자료사진)ⓒ연합뉴스

전세난 가중 속에 전셋값이 고공행진하는 가운데 은행권의 전세대출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사상 최대로 인하해 전세대출 증가 추세는 당분간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대은행의 전세대출(기금을 제외한 은행계정)은 올해 1~5월 사이 3조4974억원이 증가했다.

이는 전세난이 심화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2조248억원)과 비교해 1조4726억원(72%)이 증가한 수치다.

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1조2221억원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국민은행(7313억원), 농협은행(6713억원), 신한은행(5767억원), KEB하나은행(3030억원) 순으로 늘었다.

전세자금 대출의 가장 큰 요인은 전세난의 영향으로 전셋값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 동향조사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국 평균 전셋값은 지난해 5월 1억7256만원에서 올해 5월 2억136만원으로 1년 만에 2880만원(16.7%) 올랐다.

특히 서울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은 더욱 두드러졌다. 같은 기간 3억4111만원에서 4억676만원으로 6565만원(19.2%)이 뛰었다.

전세가격은 이미 매매가를 턱밑까지 추격한 상태다. 서울 아파트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은 지난달 처음으로 75%를 돌파했다.

성북구(84.3%), 성동구(81.0%), 구로구(81.2%), 중구(80.1%), 동작구(80.0%) 등 5개 구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었다.

전세난이 해갈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지난 10일 기준금리를 기존 1.5%에서 1.25%로 인하함에 따라 전셋값 조달비용이 싸지면서 전세대출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1.50%로 0.25%P 내리자,6대 은행의 전세대출은 비수기였던 7~8월 두 달 동안 1조원 넘게 급증했다.

박민 기자 (mypark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박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