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수위 낮아진 친박...그들이 두려워하는 것은?


입력 2016.06.21 09:50 수정 2016.06.21 09:51        장수연 기자

정진석 사퇴 → 사과 → 사태에 대한 설명으로 수위 낮춰

유승민 복당 뒤집기 어려운 상황서 불안해지는 당권이 원인?

새누리당 친박계 초,재선 의원들이 20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유승민 의원 복당사태와 관련한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정진석 사퇴 → 사과 → 사태에 대한 설명으로 수위 낮춰
유승민 복당 뒤집기 어려운 상황서 불안해지는 당권이 원인?

새누리당 친박계의 비박계를 향한 공세 수위가 당초 예상보다 낮아졌다. 친박계는 20일 '유승민 복당 사태'에 대한 무력시위에 나섰지만 당내 70~80명에 이르는 친박계 중에 고작 26명 밖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에 친박계가 이번 사태의 본질인 '유승민 복당'을 뒤집기는 어려우니 확전을 피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친박계 의원 30여명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정진석 원내대표의 소명과 권성동 사무총장의 사퇴, 복당파 의원들의 화합 다짐을 골자로 하는 3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해당 회동은 친박 중에서도 강성으로 알려진 조원진, 김태흠, 이장우, 김진태, 이우현, 박덕흠 의원 등이 주도했다. 이들 6인은 지난 17일 친박계의 '1차 시위' 당시에도 힘을 모았다.

이날 회동에 참석한 박대출 의원은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권 사무총장은 이번 사태로 무너진 당 기강을 바로잡고 책임을 지는 차원에서 사무총장과 비대위원직에서 즉각 물러나 달라"며 김 비대위원장의 뜻을 존중해 대승적 차원에서 결단내려 주길 바란다. 아울러 복당이 허용된 의원들은 의원총회에서 본인의 입장을 밝히고 당 화합을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을 다짐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사실상 탈당파 의원들에게 반성과 사과를 요구한 것으로 기존 강경 입장을 유지하긴 했지만 회의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지금까지의 기세에서 한풀 꺾인 모양새였다. 박 의원은 "지금까지 문제를 더 이상 확대하거나 문제를 삼는 차원이 아니라 당 화합을 위해서 어떻게 당이 앞으로 나아가면 좋겠다는 실질적인 당 화합을 위한 논의가 있었다"며 확전을 자제하는 친박계의 분위기를 전했다.

친박계는 1차 시위를 통해 유승민 복당 사태에 대한 그들의 분노를 당 지도부에 전달했지만 세 과시에 실패했다. 정 원내대표에 대해서도 당초 '사퇴'에서 '사과'로 요구 수위를 낮췄다. 대신 권성동 사무총장에 대해 경질을 요구했고 김희옥 비대위원장이 이를 수용, 권 사무총장 교체를 결정한 것이다. 그리고 이날 모임에선 '일련의 사태에 대한 설명'으로 요구 사항을 재수정했다.

하지만 이날 2차 시위에서도 당내 70~80명에 이르는 친박계 중에 고작 26명만 참석하는 것에 그쳤다. 친박계 초재선 9명(김기선, 박덕흠, 홍철호, 유의동, 유민봉, 강효상, 성일종, 김명연, 송석준 의원)도 이날 회동 결과에 이름을 함께 올리겠다고 알려왔지만 이들을 포함시켜도 회동에 뜻을 같이 한 친박계는 35명이다. 절반에도 못 미치는 셈이다.

여기에다 '친박 좌장'인 서청원 의원을 비롯한 중진들이 전면에 나서지 않으며 동력을 얻지 못하는 모습이다. 서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권 사무총장의 경질 문제에 대해 "개입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는 비대위의 복당 결정 다음날인 17일에도 "여론 수렴 과정이 미흡한 것에 대해선 아쉽게 생각한다"면서도 "비대위의 탈당파 복당 결정을 따라야 한다"고 수용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처럼 친박계의 기세가 꺾인 데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확전을 피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확전에 나서게 되면 불리해지는 쪽은 친박계다. 합법적으로 이루어진 유승민 의원의 복당을 뒤집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비대위의 결정이 당 대표가 주재하는 최고위 회의와 같은 성격으로 규정돼 있고 정상적 표결을 통해 결정된 사안이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아무런 하자가 없는 것이다.

그들이 눈독 들이는 것은 '당권'이다. 그러나 불안하다. 새누리당을 탈당해 당선된 7명의 의원 중 윤상현 의원을 빼면 모두 비박계다. 전당대회는 일반 책임당원과 대의원 투표 70%와 국민여론조사 30%를 합해 치러지는데 126명이 된 새누리당에서 친박계의 수는 70명 안팎, 비박계는 50명 안팎이다. 친박계에 속한 비례대표나 초선 의원들을 감안하면 양대 계파의 숫자는 얼추 비슷해진다. 비례나 초선에게는 당원도 대의원도 없기 때문에 사실상 전대에 행사할 수 있는 영향력은 미미하다.

그렇기 때문에 친박계는 확전을, 구체적으로 말해 유 의원과의 전면전을 피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 의원이 비박계의 구심점이 되는 것도 문제지만 그가 직접 당권에 뛰어들지 않더라도 친박 후보의 당권 장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간 결집하지 못하고 흩어져있던 비박 일부 의원들이 세력화하는 모습이다. 비주류로서 겪은 설움을 설욕하기 위해 더욱 단단히 결집할 가능성이 크다.

장수연 기자 (telli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장수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