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 중기 비중 60%....'상생 경영' 앞장
상생 강화 목적으로 우수 파트너 선정 등 파트너 집중 관리
# 지난 2014년 여성의류 쇼핑몰 '타라디토'를 창업한 노준민 대표(32세)는 쇼핑몰을 시작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모바일 쇼핑채널 티몬의 MD(상품기획자)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고가 브랜드부터 소호몰까지 최악의 불경기로 패션업계 전체가 아우성인 것에 반해 그의 쇼핑몰은 이미 6월 올해 목표를 훌쩍 뛰어넘는 매출을 달성하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모바일 채널의 특성을 잘 알고 있는 티몬 덕분에 고객에게 좀 더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상품과 컨텐츠를 만들 수 있었고, 티몬이 시행하고 있는 '무료반품' 서비스로 주문이 많아지면서 반품률이 다소 오르긴 했지만 모든 비용은 티몬에서 부담하고 있어 매출은 그보다 훨씬 더 오를 수 있었다.
# 티몬 가전 제품군 중 올해 상반기 매출 1위의 상품은 중소기업 브랜드인 '제파'의 40인치 TV였다. 기능과 품질상 기존 대기업 브랜드와 큰 차이가 없는데다가 가격은 반값 수준에 공급하고 있는 탓이다. 여기에 티몬은 자체적으로 1년 AS연장 서비스를 더하며 판매에 힘을 실어줬다. 전자제품이다 보니 AS가 구매결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데 중소기업 브랜드다 보니 고객들의 신뢰가 부족한 점을 파악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가 더해져 중소브랜드 TV 매출은 지난해 대비 123%나 성장할 수 있었다.
이처럼 소셜커머스와 중소 업체가 만나 큰 성공을 거두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중소기업의 경우 우수한 제품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더라도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찾지 못하는 사례가 많아 소셜커머스가 핵심 마케팅 채널로 주목 받고 있기 때문이다.
티몬의 경우 매출 상위 100여개 상품 중 중소기업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60%를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육아 등 특정 카테고리에서는 중소기업 상품 비중이 80%에 육박하는 사례도 있다.
품질 개선에서부터 마케팅지원까지 'One Stop Service'
티몬에서 중소기업 제품의 판매가 잘 되는 이유는 우수한 제품을 선별해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큐레이션' 기능 때문이다. 판매자가 제품을 직접 등록하는 오픈마켓과 달리 티몬은 MD들이 상품을 직접 발굴 또는 기획한다.
발굴과정에서 가격과 판매전략을 중소기업과 직접 논의해 경쟁력을 갖춘 후,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추천'하는 방식으로 판매가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제품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장점이 판매과정에서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소비자의 관점에서 컨텐츠를 기획하는 등 홍보와 마케팅 계획까지 동시에 수립하기 때문에 효과가 높을 수 밖에 없다.
티몬에 따르면 '제이엔에스코리아'라는 업체는 14년 동안 봉제완구를 중심으로 수출위주로 경영을 했는데 티몬에서 2012년 12월부터 '아페토 애견 도넛방석'을 20억원치 판매를 한 계기로 내수 및 애견용품에서도 자신감이 생겨났다. 애견뿐 아닌 고양이를 위한 포켓방석을 출시하는 등 상품다양화도 꾀하고 있다.
중소기업 성공 위해 파트너 집중관리 실시
티몬은 중소기업들의 성공을 위해서 지난해부터 파트너 집중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파트너 관리를 위한 매뉴얼과 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가전, 뷰티, 패션, 생활 등 각 카테고리에서 우수한 성적을 달성하고 있는 파트너들을 별도로 분류해 특별 관리를 실시하고 영업을 지원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티몬의 우수 파트너로 등록돼 있는 숫자는 약 140여개 회사다. 이들이 지난해 티몬의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카테고리별로 많게는 30%에 이른다. 티몬은 분기별로 우수파트너들을 초청해 간담회를 개최하는 한편 성장관리를 목표로 파트너간 교류를 넓힐 수 있는 자리를 만들고, 특별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파트너와 동반성장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올해 성장에 따른 추가 혜택도 제공할 예정이다.
신현성 티켓몬스터 대표는 "우수한 제품을 보유하고도 판매 채널이 없어 빛을 발하지 못했던 중소자영업자들에게 최고의 마케팅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프로세스 혁신을 통해 중소업체와의 상생효과를 극대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