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미국 대선' 트럼프 당선되면 공매도 금지될까?


입력 2016.11.08 11:02 수정 2016.11.08 19:04        김해원 기자

트럼프 당선 최악 시나리오...공매도 중단 카드 '만지작'

업계 "유럽발 금융위기 정도 타격은 없을 것으로 예상"

미국 대통령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금융당국이 국내 경제에는 악재로 꼽히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자료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미국 대통령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국내 경제에는 악재로 꼽히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당선'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금융투자업계는 금융당국의 가장 강력한 '시장 개입'으로 꼽히는 공매도 한시적 중단 카드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금융당국은 과도한 공매도 세력이 주가하락을 부추기고 주가 상승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 앞서도 공매도 일시 금지를 선언한 바 있다. 다만 이번 '트럼프 리스크'는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와는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공매도 금지 카드는 꺼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순실 게이트'와 더불어 '미국 대선' 불확실성이 국내 경제를 흔들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당선될 경우 우리 금융시장의 충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주한미군 철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재협상 등 굵직한 논쟁거리가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것이라는 지적이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미국 신용등급 강등 사태 때 공매도는 한시적으로 금지됐다. 지난 6월 브랙시트 여파로 국내 증시가 급락장을 이어갈 때도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단계적 시장안정 조처’를 강조했다.

금융위기 때마다 '공매도 한시적 중단' 카드가 언급되는데 대해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모든 시장 참여자들이 시장 붕괴를 예상할 때 공매도 세력이 시장 붕괴를 가속화 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평가받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 판 뒤 나중에 되사서 갚는 거래 방식이다.

금융위기 때 공매도는 ‘풍선효과’를 가져와 주식을 팔려는 의도가 없었던 사람들에게 불안심리를 형성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공매도를 일시적으로 금지하게 되면 주가가 상승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증권사 관계자도 "공매도를 통해 인위적으로 주가를 하락시킬수는 없지만 공매도 물량이 많으면 주가가 다시 올라오는 데 시간이 걸리는 것은 사실"이라며 "주가가 상승하려고 할 때 공매도 물량이 방해가 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발 금융위기 2008년과 같지 않다"

다만 금융위 관계자는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국내 경제에 타격은 있겠지만 2008년 유럽 금융위기 만큼의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며 "만약 위기가 발생한다면 공매도 중단이 가능하겠지만 트럼프 리스크가 유럽 금융위기 정도 규모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후보가 당선될 경우 국내 시장에 주는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있지만 공매도 중단까지의 위기는 아닐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지난 6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Brexit)때도 공매도 중단은 없었던 만큼 직접적 금융시장 개입은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유럽발 금융위기 때와 달리 국내의 공매도만 중단하게 된다면 외국인의 국내 시장 이탈이 가속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2008년 금융위기 때는 국내 뿐만이 아닌 대부분의 국가가 공매도 한시적 중단에 들어갔다"며 "각 투자국의 시각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만 공매도를 중단하게 된다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급격히 빠져나갈 수 있다. 금융위기에 대한 공감대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실장도 "트럼프의 당선이 주가하락요인은 분명하다고 본다"면서도 "다만 보통 공매도가 금지되는 정도의 충격은 2008년 주가 50%폭락, 2011년 30% 폭락 정도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 때 과거와 같은 대규모 주가 하락은 예상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황 실장은 "브렉시트 때도 충격이 있기는 했지만 금세 시장이 회복됐다"며 "트럼프가 당선된다 해도 브렉시트 정도의 충격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공매도 금지같은 가장 강력한 시장 안정화 장치가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해원 기자 (lemir0505@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해원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