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통일부 " '개성공단 중단'에 최순실 개입 없어" 재확인


입력 2016.11.21 11:56 수정 2016.11.21 12:01        박진여 기자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국정조사서 계속 밝혀나갈 것"

"북 함경북도 수해복구 발표, 피해규모에 훨씬 못 미쳐"

'통일대박론'과 개성공단 중단 결정 등 정부 외교안보 사항에 대한 최순실 개입 의혹과 관련, 정부는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자료사진) 데일리안DB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국정조사서 계속 밝혀나갈 것"
"북 함경북도 수해복구 발표, 피해규모에 훨씬 못 미쳐"

'통일대박론'과 개성공단 중단 결정 등 정부 외교안보 사항에 대한 최순실 개입 의혹과 관련, 정부는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통일부는 21일 '통일대박론' 구상을 담은 독일 드레스덴 연설문과 개성공단 중단 결정 등 정부의 주요 외교안보 사항에 대한 최순실 개입 의혹이 불거진 것과 관련 최순실 씨의 개입이 없었다는 점을 재확인하면서, 이날부터 가동된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이하 국정조사특위)'에서 이를 밝혀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국정조사에 통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고, 자세한 조사계획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정 대변인은 "그동안 통일부는 개성공단, 그리고 외교안보 분야 연설문 등에 최모 씨가 개입한 것은 없다고 이미 밝혀왔다"면서 "앞으로 국정조사에서도 같은 점을 계속 밝혀 나갈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관련 문서 원본의 공개 여부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과 함께 결정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런 측면을 고려해야 될 것"이라며 "조사 과정에서 (연설문)원본은 통일부가 갖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밝히겠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이 이날 함경북도 수해로 파괴된 살림집 1만 1900여 세대를 복구했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복구 세대의 규모가 피해규모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정 대변인은 "북한과 유엔이 공동으로 발표한 자료를 보면 완파된 1만 5000여 세대를 포함해 3만7700여 세대가 피해를 봤다"며 이같이 전했다.

또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해와 달리 수해 지역을 방문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서는 "(지난해) 나선 지역 같은 경우 비교적 작은 지역이고, 복구도 빠르고, 실적을 내기 수월한 측면이 있었다"며 "그렇지만 이번 경우 복구지역이 조금 넓고, 완료되지도 않은 상태기 때문에 김정은이 직접 나서기 부담스러웠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