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일주일', 청와대-정치권 수싸움 긴박…탄핵 운명 가른다
야3당, 비박계 압박수위 높이는 동시에 '부자 몸조심'
비박계 표심 겨냥한 대통령의 마지막 승부수는?
정치권이 박근혜 대통령의 진퇴 문제를 둘러싼 '운명의 일주일'을 맞았다. 9일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 오르기까지 남은 5일은 박 대통령의 진퇴는 물론 정치권 전체의 운명을 가를 수 있는 시간이다.
당장 주말 촛불민심은 더욱 뜨겁게 타올랐다. 지난 3일 헌정사상 최대 규모인 232만명의 촛불이 거리로 나서며 박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했다. 여기에 촛불은 여의도로 번져 정치권의 탄핵안 처리를 압박했다.
야3당 '비박계 압박' 수위 높일 듯…'부자 몸조심' 입장
'촛불 민심'의 위력을 체감한 야3당은 9일 박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가결에 총력을 쏟겠다는 각오다.
관건은 탄핵안 가결정족수 200명을 어떻게 채우느냐다. 야당과 무소속 의원은 172명으로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의 동의 없이는 탄핵안 처리가 불가능하다. 야당의 과제는 비박계의 지지를 끌어내 굳히는 일이다.
야당은 "탄핵안이 부결되면 광장의 분노가 여의도로 향할 것"이라며 비박계의 표결 동참을 압박하고 있다. "대통령의 공범으로 남을 것인지, 국민 편에 설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고도 했다. 비박계를 향한 압박 수위는 이번주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촛불민심을 등에 업었지만, 자칫하면 전략 부재나 감정적 대응 등으로 수세에 몰릴 수도 있다. 야권 한 관계자는 "광장 촛불에 취해 막말을 하거나 여당과 감정 섞인 언쟁을 자제해야 한다"며 "이제 야당이 '부자 몸조심'하는 입장"이라고 했다.
'탄핵안 2일 표결'에 반대했다가 여론의 거센 비난을 받은 국민의당은 더욱 적극적인 입장이다. 탄핵안 처리가 무산될 경우, 새누리당과 함께 '연대책임론'의 굴레에 갇힐 수 있다.
박지원 비대위원장을 비롯한 국민의당 의원들은 3일 청계광장에서 시민들로부터 '똑바로 하라' '새누리 2중대냐'라는 항의를 받기도 했다. 비박계 설득에 성공해 '탄핵 일등공신'으로 서는 시나리오를 가동 중이다.
박 대통령 어떤 승부수 던질까…'캐스팅보트' 비박계와 만남 '주목'
여기에 박 대통령은 탄핵안 가결을 저지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든 승부수를 띄울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박 대통령과 비박계 의원들의 회동 여부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이 회동에서 퇴진의사를 밝히며 시기나 방법론을 우회 거론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는 탄핵대오를 흩트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박 대통령이 4월에 자진해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만 밝힌다면 굳이 탄핵이 필요없다는 게 비박계의 주된 입장이다.
4일 현재까지 청와대는 "여야가 합의해달라"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비박계가 7일 오후 6시까지 '4월 퇴진'을 천명하지 않을 경우 9일 탄핵안 표결에 찬성표를 던지겠다고 밝힌 만큼, 그 전까지 '표단속'할 수 있는 메시지가 불가피하다.
아울러 박 대통령이 "가까운 시일 안에 소상히 밝히겠다"며 가질 예정인 기자회견 등 공개입장 발표도 정국을 흔들 변수다. 어떤 발언을 내놓느냐에 따라 담화 못지 않은 파장을 낳을 수 있다.
내놓을 만한 카드가 없는 새누리당 지도부는 오는 9일 본회의 표결에 아예 불참하도록 유도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정국 주도권을 잃은 여당 지도부의 역할이 사실상 배제된 상황이다.
탄핵안 표결까지 남은 일주일 동안 비박계의 표심을 흔들 박 대통령과 야당의 수싸움이 어느 쪽으로 귀결되느냐가 최대 관전포인트다. "탄핵 추진에 미적거리느냐"는 성난 촛불민심 앞에 정치권의 고민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