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하태경 “구시대 매듭짓자”…삼성·현대차·LG·SK ‘전경련 탈퇴’ 선언


입력 2016.12.06 18:22 수정 2016.12.06 18:22        이광영 기자

대기업 ‘줄줄이’ 탈퇴 선언, 전경련 존립 ‘치명적’

(왼쪽부터)구본무 LG그룹 회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 출석하기 위해 청문회장으로 들어서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전국경제인연합회 탈퇴 선언이 다른 대기업에도 빠르게 전염되고 있다.

이재용 회장은 6일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출석해 ‘구시대의 매듭을 짓기 위해 전경련을 탈퇴할 것이냐’는 하태경 의원(새누리당)의 질의에 “해체까지 할 자격은 없지만 저희는 탈퇴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는 이 회장이 앞서 박범계 의원(더불어민주당) 질의에 “앞으로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답변한 후 하태경 의원에게 “앞으로 전경련 지원금(회비)을 내지 않겠다”고 밝힌 다음 탈퇴를 재차 강조한 것이다.

하 의원은 ‘전경련을 미국 헤리티지재단과 같은 싱크탱크로 만들어야 한다’는 구본무 LG그룹 회장의 이전 발언을 강조하며 삼성 외 다른 대기업에도 동의를 구했다.

이에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구본무 LG그룹 회장은 “네”라고 답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도 “(전경련의 환골탈태) 노력을 계속 하고 있다. 그런 의사가 있다”며 동의에 가까운 답변을 내놨다.

삼성을 중심으로 한 대기업들의 탈퇴 선언은 전경련 존립에 치명적이다. 전경련 회장인 허창수 GS그룹 회장은 안민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의 질문에 “(5대 재벌의 1년 회비가) 200억원 정도 된다”고 밝혔다. 이 중 절반 이상을 삼성이 책임지고 있다. 전경련의 1년 회비 수입은 약 300억원 수준이다.

한편 구본무 회장은 청문회를 통해 전경련을 재계 친목단체로 존속시켜야 한다는 소신을 밝힌 바 있다. 미국 헤리티지 재단처럼 운영하고 기업 친목단체로 남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광영 기자 (gwang0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광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