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전경련, 내년 2월 총회서 존폐 결론…쇄신안 마련 ‘총력’


입력 2016.12.09 10:48 수정 2016.12.09 10:53        이광영 기자

삼성 탈퇴 기정사실화…싱크탱크 전환 가능성 거론

허창수 전경련 회장(오른쪽)을 비롯한 8대그룹 재계총수들이 지난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1차 청문회에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사진공동취재단

삼성 탈퇴 기정사실화…싱크탱크 전환 가능성 거론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내년 2월 열리는 정기총회서 존폐 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릴 방침이다.

9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 측은 600여개 회원사가 참여하는 내년 2월 총회서 존폐 문제 등 진로를 정하기로 했다. 현재 주요 회원사를 상대로 의견수렴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이 끝나면 쇄신안을 마련해 총회에서 승인을 받는다는 계획이다. 쇄신안으로는 전경련의 핵심인 경제단체 기능을 폐지하고 싱크탱크로 조직을 전환하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전경련의 경제단체 기능은 정부나 정치권을 상대로 대기업의 입장을 전달하고 의견을 조율하는 업무, 미국·일본 등 외국 재계와의 민간 경제외교 및 사회공헌 업무 등을 말한다.

지난 6일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공개적으로 탈퇴를 선언한 삼성 등 주요 그룹 외에 산업은행, 기업은행 등도 내주 중 전경련 탈퇴 수순을 밟을 전망이다. 앞서 10월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전력 등 공기업 9곳이 전경련을 탈퇴했다.

특히 이재용 부회장은 6일 당시 “앞으로 전경련 지원금을 중단하고 개인적인 활동도 하지 않겠다”며 전경련 탈퇴 의사를 분명히 했다. SK도 그룹 총수의 뜻에 따라 현재 전경련 탈퇴를 위한 관련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7일 긴급회의서 탈퇴 유무 등 회원사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는 방향으로 쇄신안을 마련하자는 내용을 논의했다”며 “해체나 새롭게 재탄생할지 여부는 쇄신안 마련 이후 정해질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광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