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2회사고 철도건널목, 관리원을 배치하고 안전설비 개선
5년간 2회사고 철도건널목, 관리원을 배치하고 안전설비 개선
국토교통부는 자동차가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면 내비게이션을 통해 ‘일시정지’ 메시지를 알리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사고 줄이기 대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에 설치된 1000여개의 철도건널목에서 연평균 11건의 철도건널목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사고로 인해 연간 8.8명의 사상자(한 해 사망자 2.4명)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철도건널목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대부분 자동차 운전자의 부주의에 있으나, 그 배경에는 안전시설 미흡과 지형적 요인 등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2020년까지 철도건널목 사고 50% 이상 줄이는 것을 목표로 자동차 운전자의 주의를 유도하기 위한 안전시설을 개선하는 등 사고저감 대책을 추진한다.
우선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사고 때 예상피해 정도가 큰 철도건널목은 특별관리 건널목으로 지정하고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최근 5년간 사고가 2회 이상 발생하거나 위험물 운송지역, 상수원 보호구역 등 사고 시 피해가 큰 철도건널목에는 내년부터 건널목 관리원을 배치하고, 안전설비를 개선하는 등 집중관리를 실시한다.
자동자 운전자의 안전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철도건널목 사고의 위험성과 철도건널목 통과 때 운전자가 준수해야 하는 안전수칙을 언론매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진입도로에 교통표지·노면표지·과속방지턱을 내년에 정비하고, 시인성 향상을 위해 건널목 차단기와 경보 등의 교체를 2018년까지 추진한다.
또한 철도건널목의 위치정보를 전자지도에 반영해 자동차가 철도건널목에 접근하면 내비게이션을 통해 경고를 알리는 서비스를 내년에 제공한다.
2018년부터는 철도건널목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남아있는 자동자를 센서로 검지해 기관사에게 알리고, 차단기를 상승시켜 자동차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첨단안전설비도 확대 설치한다.
철도건널목 입체화사업은 상대적으로 재정여건이 양호한 광역시 및 국도에 설치된 철도건널목에 대한 입체화사업을 우선 추진하고, 재정여건이 열악해 사업비 분담이 어려운 지자체는 관련부처와 협의해 입체화를 위한 사업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구본환 국토부 철도안전정책관은 “철도건널목의 안전시설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교통안전공단 등 유관기관과 함께 운전자의 안전수칙 준수를 위한 홍보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