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2.5%로 하향조정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외 여건변화를 감안해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이렇게 수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한은이 작년 10월 발표한 2.8%에서 석 달 만에 0.3% 포인트 내린 수준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8%로 종전보다 0.1%포인트 내렸다.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과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불확실성이 커진데다 위축된 소비 심리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정국이라는 정치적 리스크까지 더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은 이날 이날 통화정책방향을 통해 국내경제는 수출 부진이 완화됐으나 내수의 회복세가 약화되면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판단했다.
앞으로 국내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내수는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 등으로 회복세가 제약되겠지만 수출은 세계경제 회복 등에 힙입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정부(2.6%)보다 0.1%포인트 낮지만 한국개발연구원(2.4%), 현대경제연구원(2.3%), LG경제연구원(2.2%), 한국경제연구원(2.1%) 등 주요 연구기관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이 총재는 "민간소비가 감소가 성장률 하향 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특히 국내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높아진데다 기업 구조조정의 영향 등으로 소비 위축이 심화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한은 금통위는 이번달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1.25%로 동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