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장기간 경영마비...재계 “해외 부패방지법 희생양 될라”
이재용 부회장 공백, 성장 동력 상실 위기
미국 내 사업 제한, 글로벌 기업들 경영악화 확대 우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구속 영장 청구로 삼성은 물론 재계까지 침통함과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별검사팀은 삼성에 이어 SK그룹과 롯데로까지 수사를 확대할 예정이다. 재계에서는 국내 경제에 장기간 부정적 영향이 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시선이 크다. 특히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영 악화로 이어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특검은 16일 이재용 부회장에게 뇌물 공여 혐의 등으로 구속 영장을 청구했다. 삼성 그룹은 법원에서 최종 영장 심사 결과가 나올때까지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나, 충격에서 쉽게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이미 지난해 말부터 사장단 및 임원 인사가 무기한 미뤄지면서 조직개편도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오너 부재 공백까지 생겼다”며 “전문경영인이 무슨 책임으로 M&A 투자건 등을 진행할 수 있겠나. 글로벌 영업도 극심한 차질이 우려된다”고 호소했다.
◆범죄혐의 명확한 증거제시 없이 구속수사 신중해야
재계에서도 우려와 함께 유감을 표명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이재용 부회장의 범죄 혐의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구속수사는 신중히 검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치적 강요 분위기' 속에 이뤄진 측면도 고려해 정상참작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무엇보다 대내외 경제 환경 악화로 연결돼 국부 훼손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계속 나오고 있다. 경총은 “글로벌 기업의 경영자가 수사를 받는 사실 자체만으로 수십년 간 쌓아온 브랜드 가치 하락은 물론, 기업 존망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사법당국의 신중한 판단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수사는 짧고 굵게...기업피해 최소화해야
익명을 요구한 재계 관계자는 “국민 여론이 악화되고 있어 공식적으로 입장을 드러내긴 어렵다”면서도 “미국에서는 사회적 물의나 범법 행위를 저지른 기업에 대해 거래에 불이익을 주는 규제(해외부패방지법)이 있어, 삼성을 포함한 국내 기업이 희생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통상 제재 또는 미국과 컨소시엄, 공공입찰제한 등으로 기업이 실질적인 피해를 받을 수 있는 만큼, 특검과 법원은 이같은 상황을 감안해 수사를 진행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는 “기업 입장에서는 환부를 도려낸다는 각오로 이번 조사에 임해야 한다”며 “그럼에도 특검 수사 장기화로 인한 기업들의 피해는 최소화하는 등 수사를 짧고 굵게 마무리하는 것이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그룹은 48시간 이내 법원 영장 심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법원에서 구속 영장이 기각되면 최악의 상황은 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재계는 특검팀의 예상 밖 강수에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소환 가능성에도 주시하고 있다. SK와 롯데그룹은 이에 대비해 연일 밤샘 대비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