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장관, 소년원 찾아 “학력 인정받게 하겠다”
미취학·학업중단학생에 의무교육단계 학습지원
교육부가 학교 복귀가 어려운 소년원생 등 학업중단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해 초·중학교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23일 강원도 춘천의 신촌정보통신학교(춘천소년원)를 방문한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소년원생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이 부총리는 “의무교육단계 학생은 학교 안과 밖에 대한 구분 없이 누구나 원하는 학습을 하고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국가의 책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부총리는 “정부와 지역사회가 협력하여 소년원생을 비롯한 의무교육단계 모든 학생들이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온전히 자립할 수 있도록 ‘의무교육단계 미취학·학업중단학생 학습지원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의무교육단계 미취학·학업중단학생 학습지원 사업은 2017년부터 서울, 부산, 대구, 강원, 전남 제주 등 6개 교육청을 중심으로 1년간 시범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며, 문제점을 보완하며 2018년부터는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교육부 측은 “그간 학업중단학생은 사실상 학교 복귀가 어려운 상황에서 학교 밖에서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경로도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이에 따라 미취학·학업중단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앞으로 미취학·학업중단학생들은 교육감이 개설해 운영하는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방송통신중학교 등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직업훈련 등 다양한 학습 경험을 누적하여 교육감이 정한 일정 기준을 충족한 경우, 초·중학교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다.
교육부는 학업중단학생이 경제적 부담 없이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비용을 지원하고, 학생들에게 양질의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필요한 교과서와 교사 등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학습지원 뿐만 아니라 진로 상담 및 건강 지원 등 복지서비스와 직업 훈련을 통한 취업 지원도 이루어진다. 교육청을 중심으로 지자체,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각 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복지-고용 서비스를 연계 제공함으로써 학업중단학생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동 사업의 현장 안착을 통해, 학업중단학생들이 하루 한 시간이라도 원하는 학습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온전히 자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