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유승민, 진수희 전 장관을 캠프 수장으로...구성원은?


입력 2017.01.30 15:53 수정 2017.01.30 17:20        조정한 기자

유승민 "진 전 장관은 '캠프의 큰누나'" 친근감 보여

4.13 총선 낙천한 의원들과 함께 활동 "늘 미안했다"

바른정당 소속 대선 주자인 유승민 의원은 30일 자신의 대선 캠프 구성을 발표했다. 유 의원 측은 캠프 골격이 갖춰진 만큼 정책 공약도 일주일에 2~3회 집중 발표하는 등 본격적으로 표심을 공략할 계획이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유승민 "진 전 장관은 '캠프의 큰누나'" 친근감 보여
4.13 총선 낙천한 의원들과 함께 활동 "늘 미안했다"

바른정당 소속 대선 주자인 유승민 의원은 30일 자신의 대선 캠프 구성을 발표했다. 유 의원 측은 캠프 골격이 갖춰진 만큼 정책 공약도 일주일에 2~3회 집중 발표하는 등 본격적으로 표심을 공략할 계획이다.

유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캠프 구성을 발표했다. △캠프 총괄엔 진수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 △공동대변인엔 박정하 전 청와대 대변인과 민현주 전 새누리당 의원 △정책 담당엔 비박계 3선 김세연 바른정당 의원과 이종훈 전 새누리당 의원 △비서실장엔 유의동 바른정당 의원 △캠프 상황실장엔 김희국 전 새누리당 의원 등이다.

유 의원 캠프에서 주목할 점은 지난 2007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선 후보 경선 때 '박근혜 캠프'를 도왔던 유 의원이 당시 '적'으로 상대했던 '이명박 캠프' 인사들을 자신의 대선 캠프 수장격으로 임명했다는 점이다.

사실상 선대본부장격으로 활동하는 진 전 장관은 대표적 친이(친이명박)계 의원 모임인 '함께 내일로'의 멤버다. 지난 2010년 송년회에 참석해 "줄을 잘 서자" 는 건배사를 해 논란을 빚은 바 있지만 보건복지부 장관 시절 추진했던 정책들을 살펴보면 현재 '육아휴직 3년법' 등 저출산 대책을 대선 공약 전면에 내세운 유 의원과 일맥상통한다.

진 전 장관은 지난 2010년 보건복지부장관 시절 '제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 2015)' 등을 발표하며 저출산 대책 제공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마련과 직장보육 시설 설치 활성화 등을 주장했으며 당시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 행사에서 "대한민국 저출산과 고령화는 폭풍전야"라고 현 상태를 진단하기도 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26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대선 출마를 준비하며 머리위로 하트를 그려보이고 있다.ⓒ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유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진 전 장관에 대해 "캠프의 큰누나"라고 지칭하며 "캠프를 무난하게 조율하고 조정할 분이다"라고 진 전 장관을 소개했다.

유 의원의 캠프 구성의 또 다른 특징은 '전직 의원'들이 다수 포진돼 있다는 점이다. 유 의원은 "우리 캠프는 주로 바른정당 소속의 현역 의원들도 많이 계시지만 전직 의원들도 있다"며 "주로 작년에 저 때문에 '공천 학살'을 당한 분들인데 지난 4.13 총선 이후 계속 같이 했다"고 설명했다.

유 의원 측근은 사석에서 "평소 자신 때문에 지난 총선 경선에서 탈락한 의원들에게 '미안하고 또 미안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며 "그분들이 앞장서서 도와주는 것을 보며 '열심히 해야겠다'고 말해왔다"고 전했다. 유 의원의 최측근으로 분류돼 19대 공천에서 낙천한 것으로 알려진 민 전 의원과 이 전 의원 등이 캠프에서 활약할 예정이다.

김 의원과 이 전 의원은 복지, 교육, 노동 등 분야에서 구체적인 대선 공약을 만들어 내놓을 예정이다. 비박계 3선인 김 의원은 경제 민주화 실천모임 소속이고 이 의원은 유 의원과 함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노동경제학 전문으로 알려져 있다. 유 의원측 캠프 관계자는 "혁신성장 쪽과 복지 쪽 둘 다 정책은 이미 다 구상해놓았다"며 "어느 쪽을 먼저 제시할지 고민 중이다"라고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

유 의원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대선 출정식 때 중부담-중복지를 말했는데 세금을 어떻게 늘릴 것이냐'는 경제 정책 관련 질문에 "조세 부담률이 18% 수준인데 조세부담률을 점차 올려야 한다"며 "세금 중에 뭘 올리냐는 법인세, 소득세, 부가가치세 중 가진 사람이 더 많은 세금을 낸다는 원칙을 지키면서 조세 부담을 늘리고 속도와 폭은 우리가 목표로 하는 여러 복지 수준에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등 외교, 안보 이슈를 책임질 전문가 명단은 이날 공개하지 않았다. 유 의원은 "현직에 계시기 때문에 비공개를 원하는 분들도 많다"고 설명한 뒤 "명단을 다 공개할 순 없지만 많은 분들이 도와주고 있고 자유롭게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도와주고 있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조정한 기자 (impactist9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정한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