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규모 기능 개선한 보다 똑똑해진 ‘코레일톡+’ 3일 개시
10단계→7단계로 예매 절차 간소화, 정보 검색도 간편하게
빠른출발 열차 추천·마일리지 특실 자동 업그레이드 안내
열차 예매 절차를 간소화하고, 출발 시간을 고려해 객실 업그레이드 자동 안내 기능을 탑재한 ‘코레일톡+’가 3일부터 새롭게 서비스를 개시한다.
코레일은 2200만여명이 이용하는 ‘코레일톡’(철도승차권 예매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구성, 기능을 사용자 중심으로 대폭 개선한 코레일톡+를 3일 0시(2일 자정)부터 본격 서비스한다고 2일 밝혔다.
‘코레일톡+’는 우선 사용자가 편리하게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화면 이동을 최소화하고, 직관적인 화면 구성으로 예매 단계를 크게 종전 10단계에서 7단계로 줄였다.
특히 GPS를 이용한 코레일의 ‘행복제안 서비스’가 새로이 선보인다. 고객이 열차 출발 시간보다 일찍 역에 도착한 경우, 더 빨리 출발하는 열차로 자동으로 변경 안내하고 예매까지 연결해주는 ‘타임 세이빙 서비스(Time-Saving Service)’를 제공한다.
일반실 승차권 소지 고객이 열차 출발 20분전 역에 도착하면 특실 요금의 50%에 해당하는 마일리지를 차감해 특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자동 안내하는 ‘특실 업그레이드 서비스’ 등 최신 IT 기술을 적용한 획기적인 서비스다.
좌석 선택도 맘대로, 간편 기능 위젯도 첫 선
코레일톡+는 정보 검색을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사용자 입장에서 화면 구성·아이콘·폰트·선택 버튼 등 디자인 시인성을 높였다.
또한 지도에서 출발·도착역을 선택할 수 있고, 좌석도 창문 위치까지 확인해 선택할 수 있도록 고객 편의를 높였다.
▲열차 출발과 도착 전 알람 ▲광명역 KTX셔틀버스 마일리지 적립 ▲고객 맞춤형 할인상품 안내 등 ‘스마트 알림’ 기능이 추가됐다. 두 개 열차가 하나의 편성으로 운행하는 중련열차의 승차위치 안내 등 고객 안내 서비스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실시간 열차 운행정보 ▲자주 사용하는 기능을 한데 모아 바로 쓸 수 있는 위젯 ▲승차권 전달(선물)하기 및 여행일정 공유하기 ▲코레일멤버십과 승차권에 QR코드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코레일은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고 종합적인 여행 정보 제공을 위해 2010년 코레일톡 론칭 이후 최대 규모의 기능 개선 작업을 거쳐 이번 코레일톡+를 선보였다.
안정적인 서비스와 기능 개선을 위해 코레일은 지난해 11월 21일부터 12월 4일까지 500명의 사전 체험단을 선발해 개선 의견을 수렴했다.
아이폰용 2월 말 서비스, 기존 코레일톡도 당분간 이용 가능
코레일톡+는 우선 3일 안드로이드폰용 버전이 오픈되며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코레일톡+를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받아 새로 설치해 이용할 수 있다. 아이폰용(iOS) 버전도 2월 말부터 서비스 될 예정이다.
코레일은 기존 코레일톡 이용자를 위해 당분간 코레일톡 서비스도 함께 제공한다. 다만 새로운 서비스는 코레일톡+에서만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코레일톡은 코레일톡+ 서비스로 단일화될 예정이다.
이번 개선 이외에도 코레일톡+는 ▲도시락·커피 등을 주문하는 올인원(All-in-one) 서비스 ▲여행일정을 짜는데 도움을 주는 트립플랜(Trip Plan) 서비스 ▲전국호환 교통카드 R+(레일플러스)의 모바일 교통카드 ▲다국어 지원(영·중·일어) ▲간편결제 ▲승무원 호출하기 등 단계적으로 기능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계획이다.
홍순만 코레일 사장은 “코레일톡+는 다양한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더욱 편리하게 철도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첨단 IT 기술을 접목해 더욱 쾌적하고 새로운 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