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일본 '소녀상' 명칭 변경 시도…정부 "우리는 계속 소녀상으로"


입력 2017.02.07 16:51 수정 2017.02.07 16:53        하윤아 기자

외교부 주한 일본대사 공석 장기화에 "일본과 계속 소통할 것"

서울 종로구 중학동에 자리한 '평화의 소녀상'이 주한일본대사관을 바라보고 있다. ⓒ데일리안

외교부 주한 일본대사 공석 장기화에 "일본과 계속 소통할 것"

최근 일본 정부가 '소녀상' 호칭을 '위안부상'으로 바꾸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힌 가운데, 우리 정부는 소녀상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7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그간 소녀상이라는 명칭을 사용해왔으며, 앞으로도 그렇게 할 것"이라며 "소녀상은 명칭 여부와는 별도로 피해자 분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그리고 마음의 상처 치유라는 위안부 합의의 목적에 충실한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다만 조 대변인은 일본 정부의 소녀상 명칭 변경이 일본군 위안부 가운데 미성년자가 존재했다는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려는 의도도 있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답을 내놓지 않았다.

앞서 3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문제 삼고 있는 것이 위안부상이니까 그런 의미에서 위안부상이라는 표현을 해왔다. 위안부상이라고 하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 상당히 이해하기 쉽다고 생각한다"며 '소녀상' 대신 '위안부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조 대변인은 일본 정부가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에 대한 반발로 주한 일본대사의 일시 귀국을 조치한 지 곧 한 달째를 맞는 것과 관련해 "귀임은 기본적으로 일본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며 "구체 귀임 일자와 관련해 우리 정부가 일본 정부로부터 통보받은 바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소녀상 설치 문제를 계기로 불거진 한일관계 갈등 상황을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에 대한 물음에 "한일 양국은 가까운 이웃 국가이자 다양한 분야에서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중요한 파트너이기 때문에 양국 간 어려운 문제가 있더라도 상호 협력을 통해 관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된다고 본다"며 "이런 맥락에서 정부는 일본 측과 계속 소통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하윤아 기자 (yuna1112@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하윤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