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삼성 쇄신]압박에 의한 해체...콘트롤타워 공백 리스크 어쩌나


입력 2017.02.28 16:49 수정 2017.02.28 17:15        이홍석 기자

후속조치도 각 계열사별로...그룹 차원 행사 모두 폐지

정치권 압박으로 갑작스레 결정...향후 부작용 우려 커

삼성이 그룹 콘트롤타워 역할을 해 온 미래전략실 해체를 공식화한 가운데 여러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삼성이 정치권 압박으로 인해 콘트롤타워를 해체하면서 경영리스크도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서울 서초동 삼성서초사옥 전경.ⓒ삼성
후속조치도 각 계열사별로...그룹 차원 행사 모두 폐지
정치권 압박으로 갑작스레 결정...향후 부작용 우려 커

삼성이 그룹 콘트롤타워 역할을 해 온 미래전략실 해체를 공식화한 가운데 쇄신안도 각 사 자율적으로 수립하게 하며 자율경영제체를 강조했다.

그러나 여러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는 삼성이 정치권 압박으로 인해 콘트롤타워를 해체하면서 경영리스크도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삼성은 28일 미래전략실 해체와 수요사장단협의회 폐지, 대관업무 조직 해체, 승마협회 회장사 사임 등을 골자로 하는 쇄신안을 발표했다.

삼성이 쇄신안 발표를 통해 미전실 해체를 공식 선언하면서 계열사들은 대표이사와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자율경영 및 책임경영 제체로 전환한다. 미전실 해체로 콘트롤타워 기능은 사라지게 됐다. 미래전략실장을 맡아 온 최지성 부회장을 비롯한 250명 임직원들도 모두 각 계열사로 전환 배치될 예정이다.

또한 수요사장단협의회를 폐지하고 연말 최고경영자(CEO) 세미나, 신임 임원 만찬, 신입사원 공채 및 연수 등 그룹 차원의 모든 경영 활동을 없애면서 그룹의 그림자를 완전히 지워내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나타냈다.

특히 미전실 해체 후 향후 후속조치들도 각 계열사에 맡김으로서 시작부터 자율경영 제체를 강조했다.

그룹 홍보를 총괄해 온 이준 삼성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팀장(부사장)은 이 날 오후 삼성서초사옥 기자실에서 마지막 브리핑을 갖고 “미전실 해체 이후 후속조치에 대해서 관심이 많은데 그룹이 해체되는 상황에서 우리가 말씀드릴 사안이 아니다”며 “후속 조치는 각 사에서 자율적으로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계열사별 자율적 경영체제가 완전히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콘트롤타워가 사라지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향후 각사별로 경영이 원활히 이뤄질 지와 계열사간 유기적인 협력 관계가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이러한 삼성의 결정이 자율적이 아닌 최순실게이트로 시작된 사회적인 압박에 의해 어쩔수 없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콘트롤타워 부재에 대한 부작용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제대로 준비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정치권 압박으로 등 떠밀려서 한 결정이 그룹이나 각 계열사에 모두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재계에서는 삼성의 계열사별 자율경영체제 확립 노력이 이상적 방향이기는 하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이 따르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계열사 수가 많고 분야가 다양한 삼성의 경우, 업무를 조정하고 배분하는 역할을 하는 조직이 필요할 수밖에 없어 당분간 많은 어려움이 닥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업무조정 역할은 삼성전자(전자·IT)와 삼성생명(금융) 등 각 분야 대표 기업들이 어느 정도 역할을 할 수 있겠지만 많은 자금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 인수합병(M&A)이나 장기적 관점에서 진행돼야 하는 신성장동력 발굴 및 투자 등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오너 경영 체제에 익숙해져 있는 기업들이 갑자기 자율경영체제로 전환하는 것이 과연 긍정적일지 의문”이라며 “각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시간을 갖고 검토하고 준비해 이뤄졌어야 사안들이 정치사회적인 분위기 때문에 갑자기 진행된 것인 만큼 어느 정도 부작용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홍석 기자 (redston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