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검찰 특수본 부활 '가닥'…박 대통령·우병우에 수사력 '집중'


입력 2017.03.01 14:56 수정 2017.03.01 14:57        스팟뉴스팀

검찰,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본부에 수사 맡기기로 방침 정한 듯

인력 규모 1기 대비 줄어들 듯...탄핵 결과 따라 수사에도 '영향'

지난 70일간 전개된 박영수 특별검사팀의 공식 수사가 1일 오전 0시를 기점으로 종료된 가운데 검찰이 앞서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한 특별수사본부를 다시 본격적으로 가동해 수사를 맡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일 검찰에 따르면 김수남 특검팀이 이달 3일까지 박근혜 대통령 뇌물 의혹 등 사건을 넘겨오면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본부에 관련 사건 수사를 맡기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내부에서는 특검 사건 수사를 서울중앙지검 특수본, 총장 직속 부패범죄특별수사단(단장 김기동 검사장) 등에 맡기는 방안 등이 논의됐다.

그 가운데 '최순실 게이트' 사건 수사에 착수해 박 대통령을 피의자로 입건한 특수본에 수사를 다시 맡기는 방안이 가장 효율적이고 합리적이란 의견이 우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이 수사를 일단락해 특검에 넘겼지만 해체한 게 아니어서 다시 수사를 받아 이어가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다.

특검법상 특검은 수사기간 이내에 수사를 끝내지 못하거나 기소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 3일 이내에 사건을 검찰로 인계해야 한다.

따라서 검찰은 특검이 수사 내용을 정리해 3일까지 넘기면 이를 검토해 팀 배정과 인력 배치에 돌입할 예정이다. 특검 파견 검사 가운데 일부는 다시 후속 수사팀에 배치된다. 그 결과는 특검이 수사결과를 내놓는 오는 6일 이후에 발표될 전망이다.

검찰은 우선 특검이 뇌물 혐의 피의자로 입건한 박 대통령 대면조사와 직권남용 및 개인 비리 의혹이 제기된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에게 수사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또 특검팀이 '미완의 숙제'로 남긴 대기업 뇌물 의혹 수사도 맡아 진행하게 된다.

다만 특검을 거쳐오면서 수사 대상이 다소 축소됐다는 점에서 '2기 특수본'이 다시 꾸려져도 국정 농단 의혹 전반을 파헤친 '1기 특수본'보다는 수사 인력 규모가 다소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최대 수사 고비로 여겨지는 박 대통령 대면조사라는 숙제가 고스란히 다시 넘어온 데다, 특검팀도 결국 실패한 '최대 난제' 우 전 수석 수사를 남겨두고 있어 남은 검찰의 수사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달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과에 따라 검찰 수사의 방향과 속도 역시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스팟뉴스팀 기자 (spotnews@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스팟뉴스팀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