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수은, "대우조선 지원, 이해관계자 손실분담 전제"
선 채무조정, 후 유동성 지원 기본틀 제시
자율적 합의 정상화 추진…무산 시 P-Plan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신규 자금 지원의 전제로 이해관계자들의 손실부담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은과 수은은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대우조선 구조조정 추진방안’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우조선의 경영상황을 감안해 한도대출 형식으로 추가 부족자금 2조9000억원을 분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두 은행은 대우조선 정상화의 기본 틀로 ‘선 채무조정, 후 유동성 지원’을 제시했다. 자율적 합의에 의한 정상화를 우선 추진하되, 합의가 무산되면 법원의 사전회생계획제도(P-Plan)로 즉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산은과 수은은 대우조선 정상화를 지속 추진하기 위해서는 근원적 채무조정과 대우조선 안팎을 둘러싼 모든 구성원들의 손실 분담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현재 정상화체제 하에서 국책은행의 부담만으로는 정상화를 계속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다음달 21일 돌아오는 대우조선의 회사채 만기일까지 국내은행과 사채권자 등이 자율적으로 강도 높은 채무조정에 합의하도록 추진할 예정이다. 채무조정 방식은 약 2조9000억원 규모의 출자전환과 만기연장을 혼용하되, 이해관계자간 손실분담 차등을 둘 계획이다.
산은과 수은은 무담보채권 1조6000억여원을 보두 출자전환한다. 국내은행이 보유한 7000억원은 80%가 출자전환되고, 나머지는 금리 1%로 5년 유예 5년 분할상환할 예정이다.
회사채와 기업어음 중 절반은 출자전환하고 나머지는 만기연장이 진행된다. 만기연장분은 3% 이내 금리로 3년 유예 후 3년 분할상환하도록 할 방침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