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세월호 인양] 대선후보들, “반복되지 않아야”는 공감…사후대책엔 ‘이견’


입력 2017.03.23 12:41 수정 2017.03.23 12:49        한장희 기자

민주당 주자들, "유가족 위로와 동시에 참사 실체규명 촉구"

한국당 주자들, "더 이상 정치 쟁점화해선 안된다"

지난 21일 오후 서울 상암동 MBC 스튜디오에서 열린 더불어 민주당 대선후보 합동토론회에 이재명(왼쪽부터) 후보, 문재인 후보, 안희정 후ㅗ, 최성 후보가 토론에 앞서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습. ⓒ국회사진취재단

1073일만에 수면 위로 올라온 세월호를 두고 각당 대선후보들은 비극이 재차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면서도 사후대책에 대해서는 입장차를 보였다.

23일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은 일제히 유가족을 위로하며 세월호 참사 실체규명을 촉구했다.

문재인 민주당 후보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세월호가 온전히 인양되고 미수습자 모두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길 온 국민과 함께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한다”고 밝혔다.

문 후보 측은 이날 일정은 차분하게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같은당 이재명 후보는 호남일정 중 광주를 찾은 자리에서 “세월호 인양에 근 3년이라는 참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며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수면 위로 인양되는 세월호의 모습이 겹쳐지면서 착잡하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어 “진실은 반드시 규명돼야 한다. 선체인양이 이제 진상규명의 첫출발이 되길 바란다”며 “물밑에 가라앉은 세월호의 진실, 참사의 과정, 구조의 지연, 유족들과 실종자가족들의 억울함이 밝혀지고 해소되는 계기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안희정 후보는 직접 팽목항을 찾은 자리에서 “미수습자 가족 여러분과 1073일 동안 한마음 지켜보신 모든 국민 여러분께 위로 말씀 드린다”며 “오늘 인양 통해서 미수습자 가족들이 그리운 가족들 찾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이어 “(미수습자들을)반드시 잘 찾아서 팽목항에서의 오랜 기도가 마무리됐으면 좋겠다”며 “이걸 계기로 진상조사 통해서 철저한 사고 원인 조사하고 대한민국이 무엇보다도 생명 안전 우선인 나라를 만들자는 각오를 한다”고 다짐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중진의원·상임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이야기 하고 있다. ⓒ데일리안 김나윤 기자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도 “정부의 인양 결정 나고서 시간이 2년 가까이 지난 이제, 드디어 세월호를 인양을 앞두고 있다”며 “그 9명은 시신조차 못 찾았는데 시신조차 찾지 못한 가족들은 스스로 유가족이라고도 부르지 못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유 후보는 “이분들은 자기 자신들이 ‘유가족이 되는 게 소원이다’ 이렇게 말씀하실 정도로 매우 가슴 아픈 사연이다”며 “무사히 성공적으로 인양해서 다시는 참사 일어나지 않도록 교훈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2일 오전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19대 대통령 후보 경선 부산-울산-경남 비전대회에 참가한 이인제(왼쪽부터) 후보, 김관용 후보, 김진태 후보, 홍준표 후보가 비전발표전 인사말을 듣고 있는 모습. ⓒ데일리안 김나윤 기자

반면 자유한국당 후보들은 추모 열기에 동참하면서도 정치적 문제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뜻을 내비쳤다.

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인양되는 세월호 선체를 보면 3년 전 가슴 아픈 해난사고로 인해 희생을 당한 학생들과 세월호 승객을 가슴 깊이 추모한다”면서 “다시는 이런 어처구니없는 사고가 대한민국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만전에 만전을 기울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 후보는 이어 “다 같이 다시는 이런 불행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면서도 “이제 더 이상 세월호 사건이 특정집단의 정치적 목적에 활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당 김진태 후보도 S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세월호 인양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제는 좀 논란의 종지부를 찍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오늘 드디어 들어 올린다고 하니까 저는 이제는 정말 차라리 그러면 잘 됐다. 이것을 갖고 그동안 우리가 얼마나 오랫동안 논란과 사회적 비용을 치렀느냐”고 되물었다.

진행자가 박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 행적’ 의문을 말하자 그는 “의문이 남아있다고하는 것은 어폐가 있다. 헌법재판소에서조차 그건 헌법 위반 사유가, 대상 자체가 되지 않는다고 했는데 그게 무슨 검찰 수사대상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어 “대통령의 행적이 지금 중요한 게 아니다. 세월호를 들어 올려 도대체 가라앉게 된 원인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 물러나신 대통령에다가 다 갖다가 연결하려고 하지 말라”고 불편한 심경을 내비쳤다.

한장희 기자 (jhyk77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한장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