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새 선장' 한성숙 대표 "투명경영으로 공정한 플랫폼 구축"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
소셜벤처 지원 600억 펀드 조성·이달 29일부터 실검 개편
네이버가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6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 회사가 기술플랫폼 업체로 자리잡기 위해서 공정과 투명 경영을 강화하겠다는 차원이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28일 서울 소공동 롯데 소공점 에비뉴엘에서 취임 후 가진 첫 기자 간담회에서 "투명 경영이라는 또 하나의 책임을 가지게 된 된 것 같다"며 사회적 책무 강화 방안을 밝혔다.
이 날 발표된 네이버의 사회적 책무 강화 방안은 공익사업에 쓰던 사내 기부금 예산을 '분수 펀드'라는 새로운 체제로 정비하고 공익을 추구하는 벤처인 '소셜벤처' 등에 더 효율적인 투자를 하겠다는 것이다.
분수펀드는 네이버가 스몰비지니스와 창작자들의 사업을 위해 조성하는 사내 펀드로 공익 단체 지원이나 온라인 콘텐츠 제작 지원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지난해부터 진행 해온 소상공인 지원 캠페인인 '프로젝트 꽃'의 후속 사업 성격으로 예산도 크게 늘렸다.
네이버는 해피빈 등 공익 플랫폼 부문에 350억, 소상공인 창업 및 창작 지원 등 사업플랫폼 부문에 250억 등 총 600억 원 규모의 사내 펀드를 조성한다. 지난해 프로젝트 꽃의 예산은 53억원이었으며 공익 기부금이 354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규모가 크게 증가한 것이다.
한 대표는 "분수펀드는 지난해부터 진행해 온 프로젝트 꽃을 체계적이고 제대로 진행해서 적극적으로 스몰비지니스를 도울 수 있도록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대표는 이름이 기부가 아닌 펀드인 이유에 대해 “분수펀드는 단순 기부나 불우이웃 돕기 성금 같은 게 아니라 내가 낸 돈이 어디에 쓰이고 어떤 성과가 나는지 명확히 알 수 있게 하려면 펀드 형태가 낫다고 판단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사회적 책무와 함께 투명하고 공정한 경영도 강조했다. 네이버가 추구하려는 사업 방향인 기술 플랫폼 사업을 더 잘하려면 필수적인 요소라는 설명이다.
한 대표는 “(네이버가)공정한 플랫폼으로 자리 잡아야 (사업을)더 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공정성과 투명성은) 그동안 준비한 기술들을 서비스에 녹여내 사업자와 사용자들이 잘 쓸 수 있도록 하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잘 해 나가기 위한 장치"라고 강조했다.
오는 29일부터 반영되는 실시간 검색어(실검) 제도 변경도 이러한 투명·공정 경영의 일환이라는 것이 한 대표의 설명이다. 네이버는 그동안 논란이 되는 키워드를 강제로 배제한다는 의혹을 받아온 실시간 검색과 관련, 특정 키워드의 하루 치 실검 순위 변화를 볼 수 있는 '트래킹' 기능을 도입한다.
한 대표는 "현재 실시간급상승검색어 변경을 기존 15초에서 30초로 늘리고 순위 키워드도 10개에서 20개로 했다"며 "아직 미진한 부분이 있으면 추가로 변경을 할 것이며 변경된 서비스는 내일 오후에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네이버 서비스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여러 정책에 대해서도 앞으로 얘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이버가 국내 대표 업체로서 구글·페이스북·텐센트·넷플릭스 등 글로벌 IT 기업들과 경쟁해야 하는 현실적 어려움에 대해서도 내비쳤다. 현재 파파고, 웨일, 네이버i 등 대화형 검색 테스트를 비롯, 자율주행과 인공지능(AI) 스피커 등 다양한 실험을 시도하고 있지만 조언과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한 대표는 "현실적인 어려움은 내부 기술 관련해서 훌륭한 엔지니어와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과 자본력에 대한 점"이라며 "외부에서 보면 네이버가 자본이 있어 보이지만 글로벌 큰 회사들과 대응하려면 쉽지는 않은 싸움이 시작될 거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3년 뒤에 어떻게 되어 있을까?'하는 고민도 크다"며 "그런 부분에서 여러 사람들의 경험과 조언·협조·역할 분담이 중요해지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한 대표는 네이버 창사 이래 첫 여성 대표이며, 국내 포털 업계에서도 여성 수장 1호 기록을 세운 인물이다.
그는 숙명여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IT 전문지 기자 생활도 거친 문과 출신 경영자다. 검색 서비스 전문가로서 2007년 엠파스에서 네이버로 이직했고, 네이버페이·브이라이브·네이버캐스트 등 주력 모바일 사업을 키운 공적 등에 힘입어 작년 10월 차기 대표이사로 내정됐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