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 IASB 위원 초청 세미나…IFRS17 대응 논의
5월 최종 기준서 발간 예정…2021년부터 시행
새로운 회계기준의 주요 특징·준비 사항 공유
보험개발원이 금융회계 전문가들을 초청해 세미나를 열고, 새로운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한 보험업계의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보험개발원은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화재보험협회빌딩 1층 대강당에서 'IFRS17 도입에 따른 보험사의 영향과 대응전략'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토론의 사회는 오창수 한양대 교수가 맡았고, 배우순 교보생명 전무와 이문화 삼성화재 상무, 신병오 안진회계법인 상무, 조재린 보험연구원 실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이번 세미나는 보험계약 IFRS17의 도입을 앞두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IFRS17은 보험부채에 대한 시가 평가와 수익인식 기준 변경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저금리로 인해 도입시점에 보험회사의 자본 감소가 예상되고 수익 인식 기준이 판매시점이 아닌 서비스제공 시점으로 변경되면서, 재무적 영향뿐 아니라 상품과 영업, 경영관리 등 보험사 경영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발표자로 나선 서정우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 위원은 IFRS17 제정 일정과 도입에 따른 영향을 분석·발표했다.
서 위원은 오는 5월로 예정된 최종 기준서 발간계획과 2021년 1월로 예정된 시행일을 소개하고, 약 3년의 준비기간이 확보됨을 설명했다. 그는 도입 영향으로 회계기준이 통일돼 보험회사의 비교가능성이 제고되고, 보험계약의 옵션과 보증 측정으로 인해 재무정보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스티븐 쿠퍼 IASB 위원은 IFRS17의 주요 특징과 도입 준비사항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미래현금흐름과 할인율, 위험조정, 서비스마진 등 IFRS17의 평가요소별 특징을 손익계산서를 통해 설명하면서, 새 회계기준에 맞춰 준비해야 할 보유 계약 정보 관리와 시스템 구축 방안 등을 안내했다.
성대규 보험개발원장은 "보험개발원은 인력과 비용이 부족한 보험사를 위한 시스템 공동구축과 부채평가에 필요한 계약자행동 가정, 할인율과 위험조정 모형 제시, IFRS 관련 최신 해외자료와 동향 보고서 등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