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쓰이 “한국 모욕할 생각 없어”
위안부 소녀상에 망언을 퍼부은 일본 유명 소설가가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비난이 쏟아지자 “댓글을 노린 장난이었다”는 해명을 내놨다.
8일 산케이신문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쓰쓰이 야스타카(筒井康隆·83)는 위안부 소녀상에 대한 자신의 트위터 글이 논란이 되자 “(트위터 글은) 댓글 폭주를 노린 것으로, 농담이다”라면서 “이번에 소란을 피우는 사람들은 내 소설을 읽지 않은 사람들일 것이다. 트위터 글은 그런 사람들을 골라내기 위한 것이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을 모욕할 생각은 없었다”며 “나는 한국인에게 일본인이 얼마나 심한 일을 저질렀는지 알고 위안부상이 설치돼도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쓰쓰이는 지난 6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나가미네 대사가 한국으로 돌아갔다”며 “위안부상을 용인하는 꼴이 되어 버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소녀는 귀여우니 모두 함께 앞으로 가서 사정해 정액투성이로 만들고 오자”는 등 망언을 일삼았고 문제가 되자 이를 삭제했다.
쓰쓰이는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돼 한국에서도 인기를 모은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원작자다. 단편집 ‘도카이도 전쟁’으로 1965년 데뷔했고 애니메이션 ‘파프리카’의 원작자며 소설가, 극작가, 배우로도 활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쓰쓰이의 발언이 논란이 되자 '시간을 달리는 소녀' 원작을 출판했던 북스토리는 그의 모든 작품을 판매 중단했다. 그의 소설 '모나드의 영역'의 출판사 은행나무도 같은 조치를 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