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박원순표 정책' 문재인 공약으로…서울시 정책브랜드 보니


입력 2017.04.13 12:01 수정 2017.04.13 12:02        박진여 기자

박원순 최측근 문재인 대선캠프 합류…시 혁신성과 국가 정책과제로 발전

"서울시 정책·인재 활용하고 싶다"…"다 가져가시라. 로열티 안 받겠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박원순 서울시장의 주요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받아들여 관심이 주목된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박원순 최측근 문재인 대선캠프 합류…시 혁신성과 국가 정책과제로 발전
"서울시 정책·인재 활용하고 싶다"…"다 가져가시라. 로열티 안 받겠다"

'도시재생 뉴딜정책',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보호자 없는 환자안심병원'…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박원순 서울시장의 주요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받아들여 관심이 주목된다.

문 후보는 지난 9일, 연간 10조원대의 공적 재원을 투입해 임기 내 500개의 구도심과 노후주거지를 살리는 내용을 골자로 한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약을 발표했다. 도시재생은 박원순 시장이 민선 2기 핵심과제로 꼽은 대표적인 사업분야로, 철거 중심의 재개발에서 벗어나 소규모 정비사업 모델 개발 등을 통해 낙후된 동네를 재정비하고, 산업적 활기를 제공하는 방안이다.

실제 박 시장은 도시재생본부를 설치, 서울역 고가 개발을 비롯해 종로구 창신·수인지역과 낙원상가 일대, 창동·상계, 성수동 등 여러 곳에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박원순 서울시장의 주요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받아들여 관심이 주목된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문 후보는 이 같은 사례에 힘입어 "뉴타운·재개발 사업이 중단된 저층 노후 주거지를 살만한 주거지로 바꾸겠다"며 "그동안 도시재생사업에 연간 1500억이 투입됐지만 생색내기에 불과하다. 매년 10조원의 공적 재원을 100개 동네에 투입해 우리 동네가 달라졌다는 것을 확연히 느끼도록 하겠다"고 공언했다.

이외에도 문 후보는 서울시 주요정책을 대거 수용했다. 박 시장의 대표적인 복지정책으로 꼽히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와 '보호자 없는 환자안심병원' 현장을 방문해 전국화를 약속했고, 최근에는 광화문광장에서 서울시가 제안한 '광화문광장 재구조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박 시장의 정책브랜드로 꼽히는 청년수당 정책을 '청년구직 촉진수당' 이라는 이름으로 공약화 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문 후보 측은 전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박 시장의 최측근 인사들이 문 후보의 대선캠프에 합류하면서 서울시의 혁신성과를 국가 정책과제로 발전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문 후보의 정책특보인 김수현 전 서울연구원장은 박 시장이 대선 출마를 포기한 직후 문 캠프에 합류했고, 하승창 전 정무부시장, 조현옥 전 여성가족실장 등이 문 캠프에 합류해 정책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문 후보는 당시 영입 기자회견을 통해 "박 시장이 서울시에서 이룬 많은 혁신을 우리 정책과제로 받아서 그 혁신을 전국적으로 확산되게 하겠다"며 "박 시장이 이번 대선을 위해 준비한 정책 가운데 앞서가는 정책을 우리 정책으로 확대하는 그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소개한 바 있다.

문 후보는 앞서 10일 서울시청을 찾아 박 시장과 회동을 가질 당시에도 "서울시의 검증된 정책과 인재들을 제가 최대한 활용하고 싶다"고 전했고, 박 시장은 "서울시가 추진했던 많은 정책을 다 가져가시도록 해라. 로열티 안 받겠다"고 화답하기도 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박원순 서울시장의 주요 정책을 대선 공약으로 받아들여 관심이 주목된다.(자료사진)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한편, 서울시는 차기정부 출범을 한 달 정도 앞둔 시점에서 새로 출범할 정부가 새로운 대한민국의 청사진을 그리는데 포함해야 할 국가정책화 방안을 전체 정당에 건의했다. 서울시가 1000만 시민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환경, 경제, 노동,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정책을 추진해온 만큼 실질적으로 시민의 삶을 변화시키고, 지속가능발전이 가능한 10대 분야 66개 정책을 선정해 각 정당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정책 건의과제' 10대 핵심과제로 △실질적인 지방분권 실현 △경제민주화 △노동존중 구현 제도화 및 문화 확산 △노후기반시설 투자 확대 △보편적 복지 실현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용산국가공원 조성 △지하철에 대한 국고보조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강화 △공공임대주택 확충 등을 제시했다.

시는 이번에 발표한 정책 내용들을 책자 형태로 각 정당에 전달한다는 계획이다. 박 시장은 "서울은 대한민국 혁신의 테스트베드이자 다양한 정책들이 세계 도시들의 호평을 받고 있는 도시로, 서울의 정책 콘텐츠와 노하우가 국정에 반영된다면 새로운 시대로의 대 전환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모든 정당의 공약과 정책에 반영되기를 바란다"고 기대를 드러냈다.

박진여 기자 (parkjinye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박진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