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고령운전자, 안전교육 이수하면 車보험료 할인"
어르신들 위한 보험가입·활용 노하우 5가지 안내
"은퇴 후 실손보험료 부담된다면 노후 상품 활용"
"연금저축보험 수령 시 10년 이상 분할해야 유리"
고령 운전자는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하면 자동차 보험료를 5% 할인 받을 수 있다. 또 가입연령 제한으로 일반 실손보험 가입이 어렵거나 은퇴 후 보험료가 부담스럽다면 노후실손보험 가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금융감독원은 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어르신을 위한 보험가입 꿀팁 5가지를 안내했다.
만 65세 이상 운전자는 국내 8개 손해보험사들이 운영하고 있는 고령자 교통안전교육 이수 할인특약 가입을 통해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다. 이 특약은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한 만 65세 이상 운전자가 기명피보험자 1인 또는 부부운전자 한정운전 특약을 조건으로 자동차보험에 가입하는 경우 보험료를 연간 약 5% 할인해 주는 제도다.
이를 통해 자동차 보험료를 할인받기 위해서는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서 교육장소와 일정을 예약한 후 예약일에 공단에서 지정하는 교육장에서 상황별 안전운전 등 교통안전교육을 이수하고 운전에 필요한 인지지각검사에서 42점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한다.
노후실손보험 활용을 통해서도 보험료를 아낄 수 있다. 노후실손의료보험은 50세부터 75세가 가입대상이며, 보험사에 따라 80세까지 가입 가능한 상품도 있다. 이 같은 상품의 보험료는 일반 실손보험 대비 50~90% 수준으로 저렴하다.
만성질환자는 유병자보험을 활용해 볼 만하다. 유병자보험은 일반보험보다 보험료가 다소 비싸고 보장범위가 좁을 수 있지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도 가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유병자보험은 크게 간편심사보험과 고혈압·당뇨병 유병자보험, 무심사보험 등 3가지 유형이 있다. 자신의 병력과 가입요건, 보험료 등을 잘 비교한 후 장 적합한 보험 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또 저축성보험의 보험차익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10년 이상 보험을 유지해야 하지만, 만 65세 이상 고령자가 납입보험료 총액 5000만원 이내에서 저축성보험에 가입할 경우 비과세종합저축보험 특약을 이용하면 보험유지기간이 10년 미만이더라도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연금저축보험 가입 후 연금을 수령할 때는 10년 이상 세법상 연금수령한도 이내의 금액으로 받아야 저율의 연금소득세 5.5%가 부과되므로, 연금을 10년 이상에 걸쳐 분할 수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연금 수령기간을 10년 미만으로 단축시키면 연간 연금수령액이 세법상 연금수령한도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으며, 한도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연금소득세보다 세율이 높은 기타소득세 16.5%가 부과돼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 상품에 가입할 때 어르신들은 이 같은 5가지 사항을 꼭 기억하고 활용해 달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