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대북제재 동참하지만, 남북 민간교류도 지속 추진"
중국 단둥은행 등에 대한 미국 독자제재에 입장 밝혀
김정은 암살 관련 외신보도에 "남북관계 갈등 초래 우려"
중국 단둥은행 등에 대한 미국 독자제재에 입장 밝혀
김정은 암살 관련 외신보도에 "남북관계 갈등 초래 우려"
미국이 북한과 거래한 중국 은행·기업·개인 등 4곳에 대한 독자제재에 나선 가운데, 통일부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동참하면서도 남북 간 민간교류는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미 재무부의 대북 독자제재 조치와 관련해 "우리 정부는 국제사회 대북제재에 동참한다는 입장"이라면서도 "제재에 동참하지만, 남북관계가 단절되어 있는 상황은 정상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북제재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민간교류 등 남북관계 개선을 추진해 나간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미 정상회담이 진행 중인 상황이기 때문에 한미 간 대북 인식차라든가, 그런 대북 정책에 관해 조율이 되어 나가는 과정으로 보고 구체적인 조치사항에 대해서는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일부 외신에서 사실관계 확인이 안 된 보도로 인해 남북관계 또는 한미관계에 불필요한 오해나 갈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통일부에서는 관심사항에 대해 사실관계에 입각해 명확히 알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같은 언급은 앞서 지난 26일 과거 박근혜 정부가 북한의 정권교체를 도모했고,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에 대한 암살도 검토했다는 내용의 일본 아사히신문의 보도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북한은 이례적으로 공안기관 연합성명을 통해 일본 언론의 보도 내용을 언급하며 "우리의 최고 수뇌부를 해칠 흉계를 꾸민 국가테러범죄자들을 극형에 처한다는 것을 내외에 엄숙히 선포한다"고 강력히 반발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사실무근'이라며 "북한의 이러한 억지주장과 전직 국가원수 등 우리 국민에 대한 위협적 언사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