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한미 공조 속에 대 중국 외교방안도 마련해야"
한미정상회의, 여야 반응 엇갈려
민주당, "기대 이상의 성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결과를 두고 여야 정치권의 반응이 엇갈렸다.
여당임 더불어민주당은 기대 이상의 성공이라고 평가했고,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한미 공조 속 대 중국 외교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과제를 던졌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1일 서면논평에서 “이번 회담은 전 정부의 국정농단으로 6개월 이상의 외교 공백을 단기간에 극복하고 전 세계에 새로운 시대가 왔음을 선언하는 매우 뜻 깊은 시간”이라고 말했다.
백 대변인은 “특히 최대 난제인 대북문제에 있어 우리가 주도권을 갖는다는 것은 대한민국의 국가적 위상을 재정립한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이제 한국과 미국은 양국의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해 대등한 관계에서 공동의 번영을 추구할 것이며, 한미 동맹은 역대 어느 정부보다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야당을 향해서는 “더 이상 ‘반대를 위한 반대’, ‘정략과 정치적 이득’을 따지는 구태의연한 모습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해 진지한 고민을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에 비해 김성원 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을 통해 “두 정상이 첫 만남에서 한미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해결을 위한 공감대를 확인한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고 평가하면서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FTA와 방위비 분담 재협상을 여러 차례 강조, 향후 한미 관계에 있어 문재인 정부가 헤쳐가야 할 수많은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 역시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굳건한 한미 동맹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대한민국의 국익을 훼손하지 않도록 외교노력이 절실한 때”라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이번 정상회담 직전 미국은 중국의 단둥은행에 대한 제재와 대만에 무기판매 승인 등 중국과 북한을 동시에 겨냥한 제재를 했다. 사드배치 문제로 연일 문제를 제기하는 과정에서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경제 제재 조치가 이뤄진 것”이라며 “지금까지 중국의 행태를 보면 미국 보다는 한국에 트집을 잡고 보복성 경제적 조치를 취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그는 “문재인 대통령은 1주일 후 독일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에서 중국 시진핑 주석을 만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문 대통령은 이번 미국방문에서 미국 의회 지도자들을 만나 사드배치에 대한 의구심을 버려도 좋다는 취지로 발언했다”며 “이런 상황에서 사드배치 철회를 강력하게 요구하는 중국 지도자를 만나서 어떻게 행동을 취할지 많은 국민들께서 궁금해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만약 우리 정부가 (중국 지도자와 만나) 미국에 한 말과 다른 언행을 보인다면, 미국과 중국의 신뢰를 동시에 잃어버리는 외교참사가 일어날 지도 모른다”며 “정부는 이점을 명심하고, 대통령 귀국 후 만반의 준비를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