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 계란 유통과정에서 살충성분 기준치 24배나 검출, 정부 전량 회수․폐기 중
적합 계란 유통과정에서 살충성분 기준치 24배나 검출, 정부 전량 회수․폐기 중
살충제 계란 파장 이후 정부가 전수검사를 거쳐 적합 판정을 받은 계란을 유통시키고 있는 가운데, 적합 판정을 받은 계란에서도 유해성분이 검출되면서 정부 조사의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적합 판정을 받은 농장 생산 계란의 유통과정에서 살충 농약성분이 기준치의 24배나 검출된 것으로, 이 같은 사실도 일부 언론 보도 이후에 뒤늦게 알리는 등 정부의 먹거리 안전대응이 여전히 못 믿을 상황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됐다.
정부의 전수검사 과정에서 문제가 됐던 셀프 계란 시료 제출과 무관치 않은 사안으로, 앞으로의 검사에서도 이 같은 추가 검출사례가 없다는 보장도 못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는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적합 판정을 받은 계란 농가에서 생산한 계란을 들여와 유통 판매하는 업소 48곳을 대상으로 농약 검사를 벌인 결과, 부산 사상구의 한 판매업소가 경남 양산의 농가로부터 받은 계란 1800개에서 살충제 농약 성분인 비펜트린이 0.24㎎/㎏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검출된 비펜트린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인 0.01㎎/㎏을 적용하면 기준치의 24배에 달하는 것이다.
또한 부산 강서구의 한 대형판매업소가 경북 김천의 또 다른 농가에서 들여온 계란 7650개에서 농약성분인 피프로닐이 0.01㎎/㎏ 검출됐다.
피프로닐은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0.02㎎/㎏을 기준치로 삼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닭에 사용하는 것은 금지돼 기준치 이하라도 검출되면 폐기해야 한다.
이 같이 지자체가 실시한 유통과정 중의 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자 정부는 4일 “산란계 농장 계란의 전수검사 결과에 대한 보완 및 유통 계란의 촘촘한 안전관리를 위해 지자체와 합동으로 전통시장, 온라인 쇼핑몰 등 취약지대 유통 계란에 대한 수거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속조치로 살충제 검출 계란을 회수해 폐기하거나 추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조사에서 검출된 경남 양산 소재의 김옥순 농장이 생산·판매한 계란(난각코드 15058)을 회수 조치하고, 경북 김천의 제일농장이 생산·판매한 ‘기가찬 신선란(난각코드 14제일)’이 표시된 계란도 유통을 차단, 회수 조치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식약처와 농식품부는 “긴밀한 협조를 통해 해당 생산 농장이 보유하고 있는 계란을 전량 폐기하고,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원인 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3회 연속 검사 등 강화된 기준에 따라 규제검사 등 사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농식품부는 적합 농장을 포함해 전체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9월부터 12월까지 불시 점검을 강화하고, 식약처는 유통단계 계란에 대한 수거검사를 지속 실시하기로 했다.
산지·유통단계에서 이중점검 시스템을 통해 계란 안전성을 확보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정부에서 안전하다고 판정한 계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것에 대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생산농가의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정확한 오염 경로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정부는 회수 대상 계란을 구매한 소비자는 판매 또는 구입처에 반품해 줄 것을 주문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