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바른, 예산안 부결사태 '경고'…"양당 힘 최대한 활용할 것"
"與, 예산안 원안 고집시 협조 없다"…양당 대표도 '한목소리'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1일 내년도 예산안 처리와 관련해 "두 당이 가진 힘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여당이 공무원 증원을 원안대로 강행할 경우 예산안 처리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양당 정책연대협의체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민의당 이용호 정책위의장·권은희 원내수석부대표, 바른정당 김세연 정책위의장·오신환 의원이 참석한 가운데 두 번째 회의를 가졌다.
지난달 29일 첫 정책연대협의체 회의에서 공무원 증원과 관련해 전제조건을 내걸었던 양당은 이날 공감대를 재확인했다. 권 원내수석부대표는 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바른정당과 예산안 대응 내용에 있어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며 "같은 입장으로 이 대안 제시에 대한 힘을 더 모으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양당은 공무원 증원 예산을 삭감하고 최저임금 인상분 지원을 위한 일자리 안정자금 예산을 축소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공무원 17만4000명 증원은 예산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미래세대에 327조원이 넘는 부담을 떠안기는 결정"이라고 했고 이 정책위의장은 "(일자리 안정자금) 3조원 뿌리는 것을 최대한 없애야 한다"고 꼬집었다.
양당은 예산안 부결 가능성까지 거론하면서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권 원내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은 법정기한이란 이유 하나만으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12월 2일이 대한민국 미래를 포기하는 날이 돼서는 안 된다는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양당 대표까지 나서 예산안 협상 핵심 쟁점인 공무원 증원과 관련해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여당을 향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집권여당은 국가의 미래를 위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면서 "막무가내식으로 자기 고집을 피워서는 안 된다"고 했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도 이날 오후 당 의원총회에서 "쟁점이 되는 최저임금 관련, 아동 수당, 기초연금, 누리과정은 여야 간 협상이 가능하지만 공무원 늘리기 같이 원칙에 관한 것은 결코 양보 안 한다"며 "정부 여당이 예산안 처리 시한을 무기 삼아 원안을 고집하면 정책협의체로 예산을 저지하고 표결 시 부결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