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독립출범 1년 수협은행…호실적에도 풀어야할 숙제 여전


입력 2017.12.01 16:45 수정 2017.12.01 16:46        배상철 기자

지난 10월말 당기순이익 2193억원…전년 동기比 280%(1616억원)↑

공적자금 1조1494억원 상환‧브랜드 이미지 개선 등 과제도 산적해

수협중앙회에서 독립해 자회사로 새롭게 출범한 수협은행이 1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올해 상반기 예상을 뛰어넘는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수협은행

수협중앙회에서 독립해 자회사로 새롭게 출범한 수협은행이 1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올해 상반기 예상을 뛰어넘는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정부에서 받은 공적자금을 상환하고 부족한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야 하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협은행은 이날 수협중앙회에서 독립해 출범한지 1년을 맞았다. 출범 당시 5년 내 자산 35조원에 순이익 1700억원 규모의 우량 중견은행으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힌 바 있는 수협은행은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내면서 목표에 한 걸음 가까워졌다.

수협은행의 지난 10월말 기준 세전 당기순이익은 219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0%(1616억원)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총 자산도 27조6212억원에서 4조2876억원 늘어난 31조9089억원을 기록했다.

사업구조를 개편해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여‧수신을 늘리고 순이자마진율을 높인 결과라는 것이 수협은행의 설명이다.

전반적인 자산건전성도 개선됐다. 회수가 어려운 대출 보유 수준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99%로 지난해 말보다 0.23%포인트 하락했다. 수협은행은 올 연말이면 0.85%까지 내려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수협은행이 출범 첫해부터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시장에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꾸준한 성적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정부로부터 받은 공적자금 상환이다. 외환위기 이후인 지난 2001년 1조1581억원을 정부에게 수혈 받은 수협은행은 아직 127억원밖에 갚지 못했다.

이동빈 수협은행장은 이날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공적자금 상환이 가장 어려운 숙제”라면서 “매년 3000억원의 이익을 낸다면 5년 이내에 상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이익잉여금 배당으로 정부 자금을 상환해야하는데 이 경우 BIS자기자본 비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균형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일반 은행으로 새롭게 거듭났지만 인지도 부족으로 고객 확보가 어려운 점도 풀어야할 과제다. 수협은행은 브랜드를 알리기 위해 홍보와 마케팅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시중은행과의 경쟁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외에도 수협중앙회의 지배구조에서 완전한 독립을 이뤄내는 것과 성과급제의 확산 등도 해결해야 한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수협은행만의 차별화한 상품과 서비스로 고객 만족도를 높여갈 계획”이라며 “경쟁력 있는 강한 은행을 목표로 전 임직원의 역량을 집중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상철 기자 (chulcho@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상철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