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몰락’ 가속화…한국당, 당협위원장 대거 ‘물갈이’
전체 30% ‘교체’…서청원·유기준 친박계 중진 포함
“고얀 짓” 반발…내홍 예고
자유한국당 주류였던 ‘친박’(친박근혜)계가 빠르게 몰락하고 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정치적 책임을 물어 출당시킨 데 이어, 친박계 핵심들에게도 잇따라 철퇴를 가하고 있다.
향후 친박계가 ‘홍준표 사당화’ 프레임을 내세우며 법적 소송 등에 나설 경우 한동안 당내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당은 17일 친박계가 다수 포함된 당협위원장 교체 대상자 명단을 공개했다.
홍문표 사무총장과 이용구 당무감사위원장은 이날 오전 전체 당무감사 대상자 214명 중에서 30%에 달하는 62명이 당협위원장직을 내려놓아야 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지역 책임자’인 당협위원장을 박탈당하면 당장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 등의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여기에는 친박계 핵심인 서청원(경기 화성시갑)·유기준(부산 서구동구) 의원과 범(汎)친박계로 분류되는 배덕광(부산 해운대구을)·엄용수(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의원 등 4명의 현역 국회의원이 포함됐다.
앞서 서청원 의원은 최경환 의원과 함께 당 윤리위원회로부터 ‘자진탈당’ 권유 징계를 받기도 했다.
원외 당협위원장 중에서는 박근혜 정부 당시 주중대사였던 권영세 전 의원과 여성부장관을 지낸 김희정 전 의원이 교체 명단에 올랐다.
아울러 박 전 대통령이 대선 후보였을 때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미디어본부장을 맡았던 박창식 전 의원과 친박계 비례대표였던 전하진 전 의원 등도 당협위원장에서 배제됐다.
홍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옥석을 가리고 정비하지 않으면 지방선거를 치를 수 없기에 부득이하게 당협위원장 정비를 하게됐다”며 “일체의 정무 판단 없이 계량화된 수치로 결정했다”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의 이같은 결정에 당사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서청원 의원 측은 이날 서 의원이 “고얀 짓이다. 못된 것만 배웠다. 당의 앞날이 걱정”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번 당협위원장 박탈 명단에 속한 류여해 최고위원은 홍 대표를 향해 “배은망덕하다”며 “당무감사 내용과 탈락기준에 문제가 있었고, 정치적 목적으로 저를 희생시키려는 것”이라며 비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