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제2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 발표…질적 성장 주안점
농식품부, 제2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 발표…질적 성장 주안점
농림축산식품부가 ‘제2차 도시농업 육성 5개년(2018~2022년) 종합계획’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2차 종합계획은 도시농업 활성화를 통한 도농상생협력 및 융복합 도시농업 서비스 창출을 목표로, 2022년까지 도시텃밭 면적을 1100ha에서 2000ha로 늘리고 도시농업 참여자 수를 190만명에서 400만명으로 대폭 늘리기로 했다.
지난 1차 종합계획 기간에는 도시농업 관련 법·제도 정비, 기본인프라 구축 등 기반 육성 및 생태계 조성에 집중했다면 이번 2차 계획은 도시농업을 통해 도시민과 농업인의 상생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과 다른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 영역을 확장하는 등 질적 성장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네트워크 강화 및 교류 활성화, 영역확장형 신서비스 창출, 미래형 융복합모델 개발과 보급, 도시농업활성화 기반 조성 등 4대 추진전략과 13대 세부실천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도시텃밭 분양, 도시농업관리사 자격 정보, 귀농지원 연계 등 도시농업과 귀농귀촌에 대한 종합상담이 가능한 도시농업상담센터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 설치 운영될 계획이다.
어린이들이 농업·농촌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전국의 학교텃밭 조성·운영을 확대하고 도시농업관리사를 파견해 미래세대 텃밭교육을 지원하며, 복지형 도시농업 서비스사업도 추진한다.
도시농업에 문화․예술적 요소를 가미한 도시형 농부시장(farmer’s market), 여가체험형 도시농업 공간도 확충될 계획이다.
또한 농촌진흥청과 협업을 통해 도시녹화 표준모델을 개발하고 계층·유형별 맞춤형 기술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한국형 도시텃밭, 실내·외 정원, 친환경·생태형 텃밭 모델과 도시농업 전용 농자재 등을 개발한다.
인공지능형 식물재배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정원 관리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법․제도를 정비하고 규제를 완화시킬 방침이다.
도시농업관리사 관련 교육인프라를 강화하고, 도시농업 종합정보시스템을 고도화 해 자격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법정기념일로 지정된 도시농업의 날(4월11일) 행사 확대, 도시농업 10주년 백서발간 등 도시농업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