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회담 D-4’ 北, 9일 대화 제안 수락…靑 “평창 참가 최우선 의제”
北, 9일 고위급회담 제안 수락…평창·남북관계 개선 의제
정부, 남북 관계 복원 노력·비핵화·평화 노력 지속적 추진
남북 연락사무소 채널 통해 대표단 구성 등 후속절차 협의
北, 9일 고위급회담 제안 수락…평창·남북관계 개선 의제
정부, 남북 관계 복원 노력·비핵화·평화 노력 지속적 추진
남북 연락사무소 채널 통해 대표단 구성 등 후속절차 협의
북한이 우리 정부의 남북 고위급 당국회담 제안에 수락하며 지난 2년간 얼어붙었던 남북관계가 해빙기를 맞을지 주목된다.
통일부는 5일 "북측이 우리 측이 제의한 9일 판문점 평화의 집 회담제안을 수락했다"며 "회담 개최와 관련한 실무적인 문제들은 문서 교환 방식으로 협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회담 의제는 평창올림픽 경기대회를 비롯한 남북관계 개선 문제가 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오늘 오전 10시 16분께 북측이 우리 측에 회담과 관련한 전통문을 보내왔다"며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장 리선권 명의로 해서 대한민국 통일부 장관 조명균 수신으로 돼있다"고 전했다.
백 대변인은 회담 의제와 관련 "평창올림픽 참가를 최우선 의제로 남북관계 개선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핵문제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지는 미지수다.
청와대는 "회담 의제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 선수단이 참여하는 것이 가장 핵심"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우선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문제가 매듭지어져야 그 다음 남북관계 개선 등의 논의들이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이번 회담에서 남북관계 복원 노력과 함께 북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추진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백 대변인은 "회담 추진 과정에서 미국을 비롯한 유관국과 긴밀한 협의를 바탕으로 회담에 임할 것이며, 회담을 계기로 남북관계 복원, 한반도 핵문제 해결 및 평화정착에 기여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회담 개최와 관련한 실무적인 문제들을 추후 협의해 나갈 방침이다.
이 가운데 북한이 어떤 급의 인사를 파견하느냐에 따라 대화의 범위가 달라질 수 있어 북측 대표단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백 대변인은 "북한은 당국가 체제이고 우리와 국가 체계가 좀 다른 점이 있다. 오늘 전통문에서도 왔지만 북한이 조평통 위원장과 통일부 장관 명의로 해서 온 부분이 있고, 그 다음 국가체육지도위원회와 같은 경우에는 체육을 전담하는 부서가 우리의 카운터 파트가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정부가 당초 '고위급' 회담이라고 무게를 실음에 따라 남북 정상의 의중을 읽을 수 있는 인사가 파견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우리측에서는 통일부와 청와대 중 어느 쪽이 수석대표를 맡을 것인지, 직급을 어떻게 할 것인지가 주목된다. 관련해 북측과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협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남북 당국 간 회담은 2015년 12월 11일부터 이틀간 개성공단에서 열린 회담이 마지막이었다.
이번에 재가동된 남북간 판문점 연락채널도 2016년 2월 개성공단 중단 이후 1년 11개월 만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