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네이버 대표 “검색어 노출, 외부 목소리 경청하겠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 이사가 최근 네이버의 검색어 노출 제외 관련, 투명성 검증을 위해 외부 검증 의견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성숙 대표는 11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검색어 노출 제외 관련 기사에 대한 회사의 입장은 이미 밝혔지만, 이번 논란이 ‘발전적 논의’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네이버가 부득이 검색어를 노출 제외하는 이유와 제외 내역에 대해 외부 기관에 검증을 의뢰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는 취지에 대해 추가 설명 드린다”고 운을 뗐다.
네이버에 따르면 생성된 검색어는 최대한 노출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일부 검색어에 대해서는 법령에 근거해 불가피하게 제한을 두고 있다. 검색어가 음란 도박 마약 등 불법정보이거나, 인격체의 명예훼손 또는 사생활 침해를 일으키는 경우이다. 그러나 검색어를 노출 제외하는 행위 그 자체와 검색어 하나하나가 적절하게 제외 처리됐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여전하다.
한성숙 대표는 “네이버 역시 상충되는 가치 사이에서 판단의 중심을 잡는데 매번 어려움을 겪고, 양 방향에서 지적을 받고 있다”면서도 “네이버는 국내외 인터넷 서비스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독립된 외부 기관(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KISO)에 검색어 제외가 적절했는지 여부를 검증받고 있다. 더 나은 기준을 찾기 위해서이다”고 강조했다.
한 대표는 “네이버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은 검색어 제외 규정을 외부에 공개하고, 이에 따른 제외 조치가 과연 적절했는지 다시 외부 기관을 통해 검증받으며, 그 결과를 공개해 다양한 외부의 목소리를 수렴해가는 과정을 멈추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KISO가 검증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공개하는 것은 단순히 네이버가 검색어를 적절하게 제외 조치했는지를 살펴보는 것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사용자의 정보접근권과 피해자의 인격권 사이에서 우리 사회의 공감대를 찾아나가기 위한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이라는 설명이다.
그는 “네이버는 제외 조치 하나하나에 대한 외부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겠다. 그러나 이런 노력들이 논란으로만 그치지 않도록, 검증 보고서의 제언들이 보다 많은 공개 논의를 거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검색어 서비스의 모습은 변하겠지만, 온라인 상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시대와 호흡하는 기준을 찾아나가려는 네이버의 노력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