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유엔서 위안부·미투 언급 "피해자 중심 접근 결여돼“
미투 운동, 소녀와 여성의 인권보호와 증진 위해 더 많은 노력 필요
北에 이산가족 상봉 재개, 주민 인권개선 실질적 조치 촉구
미투 운동, 소녀와 여성의 인권보호와 증진 위해 더 많은 노력 필요
北에 이산가족 상봉 재개, 주민 인권개선 실질적 조치 촉구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지난 26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37차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 ‘미투(me-too)’ 운동 지지의사를 밝히고 위안부합의의 부당성을 강조했다.
지난 2015년 한일 양국이 위안부합의를 체결한 이후 위안부 관련 문제가 국제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언급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강경화 장관은 이번 연설에서 유엔의 여성 권익 신장 노력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힌 뒤 “전세계에 퍼지고 있는 미투 운동은 소녀와 여성의 인권보호와 증진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며 “한국정부는 양성 평등과 여성인권 보호를 위한 노력을 적극 전개해 나가고자 하며, 평시 및 전시 여성폭력을 철폐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도 적극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장관은 이어 “이러한 맥락에서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전의 노력 과정에서 피해자 중심적 접근이 결여돼 있었음을 겸허히 인정한다”며 “우리 정부는 피해자들의 상처를 치유하고 존엄과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피해자, 가족, 시민단체들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평창동계올림픽의 정신이 한반도 평화 정착과 북한인권 문제의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북한당국이 이산가족 상봉의 조속한 재개와 북한 당국이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을 위한 실질적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고 이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