康장관, 유엔 인권이사회서 위안부 언급…日겨냥
日 “최종적·불가역적…절대 받아 들일 수 없어”
康장관, 유엔 인권이사회서 위안부 언급…日겨냥
日 “최종적·불가역적…절대 받아 들일 수 없어”
전 세계적으로 ‘미투(#Me Too)’ 운동 불길이 거세지는 가운데 국제관계에서도 미투 운동의 영향력이 미치고 있다.
강경화 외교부장관은 지난 26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에서 미투 운동 정신을 언급하면서 위안부합의의 부당성을 강조했다.
강경화 장관은 “전세계에 퍼지고 있는 미투 운동은 소녀와 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러한 맥락에서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전의 노력에서 피해자 중심적 접근이 결여돼 있었음을 인정한다”며 위안부합의 후속조치 마련의지를 시사했다.
강경화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세계2차대전 당시 한국 뿐만 아니라 중국, 대만,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다수의 나라에서 위안부를 강제 동원한 일본에 뼈아픈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과거 한일기본조약 등을 방패로 내세우며 피해국들에 배상이 완료되고, 문제가 봉합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 피해 국가들은 일본 정부가 보다 진정성 있는 사죄를 보이고 과거의 잘못을 인정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이다.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강 장관의 발언에 대해 “2015년 한일 위안부합의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합의다. 일본은 (재협상이나 일본의 후속 조치 등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스가 장관은 지난 22일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이 스위스에서 열린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 국가보고서 심의에서 ‘성노예’라는 표현을 쓴데 대해서도 ‘매우 유감’이라며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바 있다.
또 아베 신조 총리는 지난 9일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한국을 방문해 문재인 대통령과 가진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지도자가 비판을 감수하면서 결단하지 않으면 미래 지향적 양국 관계를 구축할 수 없다”며 위안부합의 후속조치에 불응하겠다는 태도를 고집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