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북핵·단일화‧도덕성’…6·13 지방선거 앞에 놓인 3대 변수


입력 2018.03.07 06:00 수정 2018.03.07 05:57        이충재 기자

안희정 쇼크로 도덕성 문제 급부상 ‘미투 태풍’

대북특사 성과 유불리는? 선거연대론도 솔솔

안희정 쇼크로 도덕성 문제 급부상 ‘미투 태풍’
대북특사 성과 유불리는? 선거연대론도 솔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5일 평양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있다. ⓒ청와대

6·13 지방선거가 석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돌발변수’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안희정 충남지사의 성폭행 파문으로 ‘미투’ 태풍이 정치권을 강타하면서 여야 선거구도는 안갯속이다. 여기에 ‘선거 연대’와 ‘북핵 문제’가 이번 선거의 판도를 결정할 3대 변수로 꼽히고 있다.

미투에 숨죽인 여야

정치권에선 안희정 파문이 이번 선거의 최대 변수라고 입을 모은다. 후폭풍이 거센데다 언제 어디서 터져나올지 모른다. 위력도 메가톤급이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이자 당권주자였던 안 지사의 몰락에 여야 모두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안 지사의 성폭행이 폭로된 직후 제명 및 출당절차를 밟으며 발빠른 대응에 나섰다. 그러나 당의 신뢰도는 물론 도덕성에도 치명상이 불가피하다.

무엇보다 이번 안희정 쇼크로 도덕적 우위에 있다고 자신한 진보진영이 멍에를 쓸 수 있다. 여당 입장에선 단순히 충남지사 선거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른 지역 표심까지 등을 돌리게 할 초대형 악재다.

야당도 마찬가지다. 자유한국당 한 중진 의원은 “이번 사태가 어디로 흐를지 누구도 알 수 없고, 누구도 웃을 수 없다”며 “앞으로 선거가 석달이나 남았는데,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안희정 파문'이 이번 선거 최대 변수라는데 이견이 없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대북특사 성과 유불리는

북핵 문제를 비롯한 대북관계 역시 지방선거 표심을 흔들 핵심 변수 중 하나다. 지난 5일 방북했던 대북특사단은 1박2일 일정을 마치고 6일 귀환했다.

특사단은 4월말 남북정상회담 개최와 비핵화 의제로 한 북미대화, 남북 정상 간 핫라인 구축, 대화 중 조건부 핵·미사일 실험 모라토리엄(잠정중단) 등의 성과를 냈다. 남북대화 국면이 이어지면서 여당에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은 또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백히 했다. 또 한반도 정세가 안정궤도로 진입하면 훈련이 조절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말했다고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전했다.

조건부 비핵화인데다 사실상 쌍중단(북한은 핵과 미사일 도발을 하지 않고 남한은 한미연합군사훈련 중단) 요구로 풀이된다. 또 체제안전 보장을 내세워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아울러 북한의 태도가 언제 돌변할지 모를 변수도 남아 있다.

북측이 언급했다는 ‘비핵화’라는 표현에 함정이 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북한은 자신들의 핵폐기 뿐 아니라 미국의 대(對) 한국 핵우산 폐지까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한반도 비핵화’라는 말을 쓴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때문에 4월말 정상회담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견해도 나온다.

정당 간 연대는 선거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시나리오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당 간 연대가 이뤄지면 선거구도 자체가 달라지는 중대 변곡점을 맞게 된다. (자료사진) ⓒ데일리안

묵시적 야권 연대 솔솔

정당 간 연대는 선거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메뉴다. 여야를 막론하고 정당 간 연대가 이뤄지면 선거구도 자체가 달라지는 변곡점을 맞게 된다.

각 정당은 ‘연대는 절대 없다’고 손사래를 치고 있다. 하지만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연대 가능성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연대설은 선거가 가까워질수록 커지면서 정당 간 구애의 손짓으로 바빠질 수 있다.

특히 서울시장 선거를 둘러싼 ‘안철수 연대론’은 야권이 여당에 대적하는 최적의 카드로 거론된다. 여야 1대 1구도를 만들 수 있다.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다. 여당 후보 지지율이 높은 지역에선 야권의 묵시적인 연대 가능성이 나온다.

여당 한 중진 의원은 “저쪽에선 상대가 안 될 것 같은 지역에선 연대말고는 없지 않나”라며 “서로 신사협정 맺을 시간적 여유도 없지만, 절박함이 후보 단일화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