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청약 고점자 이렇게 많았나…세무조사도 막지 못한 ‘강남불패’
중도금 대출 막혔는데도…‘디에이치자이 개포’ 당첨가점 60~70점대
청약 과열을 막기 위해 정부의 위장전입 직권 조사, 고강도 세무조사 등을 통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최근 분양한 ‘디에이치 자이 개포’에는 수 만 명의 청약자가 몰렸다. 뿐만아니라 당첨 결과를 보니 청약 고점자도 대거 몰려 있었다. 사실상 또 한번 ‘강남불패’가 입증된 셈이다.
29일 금융결제원 아파트투유가 전날 발표한 개포주공8단지 재건축 ‘디에이치 자이 개포’의 당첨자 가점 내역에 따르면 최고 청약경쟁률을 기록했던 전용면적 63㎡P형은 최저 69점, 최고 79점으로 평균 71.63점을 기록했다. 전용 63㎡P형은 1순위 청약 결과 16가구 모집에 1451명이 청약통장을 사용하면서 평균 90.69대 1로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110가구 모집에 4150명이 몰려 37.73대 1의 경쟁률을 보인 전용 63㎡P형도 최저 68점, 최고 79점으로 평균 69.95점을 기록했다.
일반 분양 물량이 303가구로 가장 많은 전용 84㎡P(판상형)는 당첨가점이 최저 69점, 최고 79점으로 평균 70.03점을 기록했다. 이어 222가구가 나온 전용 84㎡T(타워형)는 최저 62점, 최고 78점으로 평균 65.9점을 나타냈다.
전용 76㎡P형은 최저 59점, 최고 74점, 평균 63.87점으로 단지 가운데 당첨가점 커트라인이 가장 낮았으며, 전용 76㎡T형은 최저 63점, 최고 79점으로 평균 67.82점을 기록했다.
‘디에이치 자이 개포’ 당첨 결과, 대부분의 당첨가점이 60점대 후반에서 70점대를 넘어서면서 당첨 점수를 놓고 청약자들은 술렁이고 있다. 특히 가점 높은 청약통장을 가지고 있는 자금력 있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다는 데 매우 놀랍다는 반응이다.
전용 84㎡ 기준 15억원에 육박하는 이 단지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중도금 보증 제한과 시공사 보증 불발 등으로 현금 10억원 가까이가 있어야만 청약이 가능한 단지다. 이에 당초 당첨 안정권이 60점대로 점쳐졌으나, 경쟁이 치열했던 일부 평형에서는 60점대 중후반 가점을 가진 청약자들도 무더기로 탈락했다.
전용 84㎡P에 청약을 넣었다 탈락한 40대 박모씨는 “당첨가점 65점으로 타워형에 넣었으면 당첨됐을 텐데 판상형에 넣어 떨어졌다”면서 “사실 당첨이 되면 자금을 어떻게 마련하나 걱정이 되면서도 탈락 하니 아쉽기도 하다”고 전했다.
이처럼 대부분의 탈락자들은 자금력이 좋은 부자 청약 고점자가 이렇게 많을 줄 몰랐다고 입을 모았다. 모두 한 채당 10억원이 넘어서는 고가에다 중도금 집단대출도 되기 않기 때문이다.
반면 당첨만 되면 4억~5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는 ‘로또 청약’ 아파트로 알려지면서 대부분의 서울 무주택자들이 가점 높은 청약통장을 꺼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의 한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충분한 현금이 없으면서 혹은 위장전입까지 해가면서 무 대포 청약을 넣은 것인지, 실제로 충분한 현금과 정직한 고가점자들이 이렇게 많은 건지 정말 혼란스럽다”, “청약을 넣었다 떨어진 탈락자만 해도 아직 3만명. 앞으로 서울 일반분양 물량이 몇 백 가구 밖에 안 될텐데 분양 물량보다 청약자 쌓이는 속도가 더 빠르겠다” 등의 반응들이 이어졌다.
한문도 부동산경제협회장은 “유일하게 강남에서 나온 대단지 물량인 이번 청약에서도 볼 수 있듯이 청약쏠림 현상은 여전하다”며 “서울은 수급불안의 근본적인 원인이 개선되지 않는 한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