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복귀에도 바른미래당 지지율 정체
체감도 낮은 비전…박원순과 대립각만
安 복귀에도 바른미래당 지지율 정체
체감도 낮은 비전…박원순과 대립각만
‘계륵’ 암묵적 야권연대 비판 극복과제
안철수 바른미래당 인재영입위원장이 4일 서울시장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안 후보는 앞으로 70일 남은 레이스에서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후보와 대결을 펼쳐야 한다. 주요 숙제도 남았다. 낮은 지지율 회복이 급선무다. 야권연대 여부도 변수로 꼽힌다. 서울시민을 사로잡을 확실한 비전이 약하다는 평가다.
낮은 지지도
바른미래당의 낮은 정당 지지율은 안 후보의 발목을 잡고 있다. 당 지도부는 지난달 19일 안 후보를 백의종군 한 달여 만에 당 전면에 복귀시켰다. 더 이상 한 자릿수 지지율을 관망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이다.
문제는 그의 복귀 이후로도 지지율 반등이 지지부진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복귀 후 열흘 동안 5차례에 걸쳐 인재영입을 발표했지만 크게 주목을 끌지 못했다. 안철수 효과에 무용론이 제기되는 이유다.
안 후보도 낮은 지지율에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그는 이날 출마선언식 직후 기자 간담회에서 “바른미래당을 창당하면서 제대로 잘 알리지 못했다. 전적으로 책임감을 느낀다”며 “이번 서울시장 출마도 서울시를 제대로 변화하고 혁신하겠다는 각오와 바른미래당이 제대로 자리 잡고 대한민국 정치에서 다당제가 뿌리내려 미래를 열수 있도록 하겠다는 각오”라고 설명했다.
계륵된 암묵적 선거연대
한국당과 선거연대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은 연대 가능성이 결코 없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하지만 암묵적 연대까지 막을 수 있을지 미지수다.
한국당은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김 전 지사가 새 정치를 요구하는 시대에 부합하지 않고, 서울에 연고가 없는 점을 꼽으며 이미 암묵적 연대를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안 후보는 이날 선언문에서 ‘야권 대표선수’라고 자신을 지칭했다. 단일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게 아니냐는 의견이 쏟아졌다. 안 후보는 “여당은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이고, 나머지 모든 정당은 야당이다. 그 뜻이다”고 했다.
서울시장 선거가 민주당과 한국당, 바른미래당 후보의 3자 구도로 진행될 경우 야권분산은 안 후보에게 불리하다. 반면 한국당과 암묵적인 연대를 통해 선거에서 유리한 결과를 얻었을 경우 당내 분열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방’없는 비전
안 후보는 출마 선언식에서 5가지 비전을 제시했다. 키워드는 스마트·인재교육·일자리·디지털·공동체다. 미래인재 교육 도시 건설 비전에서 안 후보는 방과 후 활동을 강조했다.
그는 “방과 후 학교는 직장을 가진 부모가 훨씬 더 편안하게 일에 전념할 수 있고, 취약한 부분에 대해 교육할 수 있다면 아이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기자간담회에서 “교육감이 있는 상황에서 중앙정부와 달리 시장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돼 있어 평생교육 쪽을 강조했다”며 정책 배경을 설명했다.
안 후보는 자신의 전문분야인 IT,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한 도시를 강조했다. 디지털을 활용한 행정 간편화 비전도 내걸었다. 하지만 서울시민이 절실하게 느끼는 정책과 다소 거리가 있다는 평가다.
그는 출마 선언문에서 “온통 뿌연 날들이 계절도 없이 반복되는데 미세먼지 대책은 없었다. 앞으로도 없어 보인다”고 했다. 서울시 정책 실패에 날을 세우는 대목이다. 하지만 정작 안 후보도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더 많이 설치하겠다”는 대책을 제시했을 뿐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