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 세월호참사 등 사건사고로 ‘안전’ 강조
올 6·13 지방선거 생활밀착형 이슈 선점 경쟁
4년 전 세월호참사 등 사건사고로 ‘안전’ 강조
올 6·13 지방선거 생활밀착형 이슈 선점 경쟁
17일 6.13 지방선거가 57일 앞으로 다가왔다. 각 정당은 후보 선별에 매진하고 있다. 우선 지방선거의 꽃 서울시장 후보와 광역단체장 후보 물색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사람만 내세운다고 끝이 아니다. 표심을 얻을 ‘공약’도 고심 중이다.
2014 지방선거 ‘안전’ 사회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4지방선거) 당시 각 당이 내세운 핵심 공약은 ‘안전’이었다. 세월호 사고 뿐만 아니라 경주 리조트 참사 등 크고 작은 사건사고들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는 6.4지방선거에 그대로 반영됐다. 당시 각 정당이 발표한 공약집은 ‘안전’과 관련된 공약을 가장 위에 실었다.
여당이던 새누리당은 ‘국민안전 최우선’을 내세우며 △국민안전 플랜 마련 △안전 관련 비리 철폐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뿐만 아니라 안전 취약계층에 대한 치안 서비스 강화를 내세우며 ‘여성 안심귀갓길’ 확대 및 어린이 활동지역 CCTV설치 확대 등을 주요 공약으로 삼았다.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이었던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마찬가지였다.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를 골자로 △안전관리시스템 구축 △교통수단 사전 안전 관리 강화 △학교 안전예방교육 등을 공약으로 발표했다.
당시 통합진보당과 정의당도 다르지 않았다. 통합진보당은 ‘안전한 대한민국, 안전한 마을 만들기’를, 정의당은 ‘위험사회에서 생명사회’를 앞세웠다.
2018 지방선거 ‘민생과 지역’
올해 6.13 지방선거의 키워드는 ‘민생’과 ‘지역’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유한국당은 6.13 지방선거 공약개발단을 출범하며 5대 핵심 공약개발 방향을 밝혔다. 서민과 중산층, 지역과 생활 밀착을 염두에 둔 공약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바른미래당 지방선거 1호 공약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강조했다. 당은 ‘바른미래 5대 정책비전’을 발표하며 △보육·노동·복지·주거 정책 등 민생 중심 정책 △풀뿌리 민주주의를 위한 자치 분권 실현을 제시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역시 이러한 기조를 내세워 공약을 선보일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문재인 대통령이 강조한 지방자치 강화와 지방 살리기 등 분권에 대한 공약을 참조할 것으로 보인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은 “큰 기조는 ‘내 삶을 바꾸는 지방자치’로 생활에 관한 부분과, 대선공약을 지방차원에 어떻게 융합시킬 것인지 두 개의 큰 기조로 공약을 마련 중”이라며 “전체공약과 권역공약은 4월 말 가량 나올 예정이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