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당 워크숍에서 나온 "바른미래당 깨질까"
보수통합·진보통합 등 정계개편 질문 '봇물'
유성엽 "장렬히 전사한단 생각으로 의연하게"
윤영일 "지지율 안 오르는 이유 콕 찝어달라"
보수통합·진보통합 등 정계개편 질문 '봇물'
정동영 "바른미래당 어떻게 될 것 같으냐"
민주평화당 국회의원 워크숍에서 '민주평화당이 가야할 길'이라는 주제의 특강이 있은 직후 정계개편 등 외풍(外風)과 관련한 질문이 봇물을 이뤘다.
불안한 원내 4당 체제가 이어지는 가운데 현 구도를 뒤바꿀 정계개편에 의원들의 촉각이 쏠려 있는 점을 반영한 모습이다.
평화당은 31일 강원도 국회고성연수원에서 정기국회 대비 의원워크숍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 시사평론가 유창선 박사가 초대돼 '민주평화당이 가야할 길'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특강이 끝난 뒤 의원들의 질문은 다른 정당의 장래, 정계개편 등 '외풍'에 집중됐다.
유성엽 최고위원은 "우리가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은 안철수의 책임"이라며 "자기도 죽고 우리도 힘들게 한 안철수 탓을 하고 싶지는 않지만, 한 번만 더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바른미래당이 자유한국당으로 가면 호남 출신 의원들이 따라가지는 않을테니 '미워도 다시 한 번'이라고 그분들을 (입당을) 받아줘서 연말이나 내년부터라도 우리 당이 자체적인 교섭단체를 했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정동영 대표도 "바른미래당이 어떻게 될 것 같으냐"고 관심을 표명했다.
이용주 의원은 "바른미래당이 한국당과 보수통합을 한다면, 반대편에 있는 민주당과 민주평화당, 바른미래당에서 이탈해나온 사람들 간의 진보통합이 논의될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유 박사는 "자유한국당에서 명분만 만들어주면 바른미래당은 당연히 보수통합으로 갈 것'이라며 "안철수 대표는 잘 모르겠지만, 나중에 복귀한 뒤 보수통합 쪽에서의 '대안'으로 될 가능성도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호남 출신은 (이 과정에서) 도저히 따라갈 수 없을 것"이라며 "바른미래당은 일정 시점에는 쪼개지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반면 이에 대응하는 '진보통합' 가능성에 관해서는 "민주당이 범(汎)진보를 하나로 다 묶으려 하겠는가"라며 "정의당은 합칠 명분이 없으니 어차피 진보가 하나로 다 묶이지는 못할텐데, 민주당이 내키지도 않는 통합을 할까 싶다"고 부정적으로 점쳤다.
민주당과 진보통합 가능성 희박…의원들도 공감
유성엽 "장렬히 전사한단 생각으로 의연하게"
평화당 의원들도 민주당과의 통합 가능성이 희박하다는데 공감을 표했다.
유 최고위원은 "21대 총선에서 장렬하게 전사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임하는 게 모습도 의연하고 모양도 갖춰갈 수 있는 길"이라고 했으며, 박주현 의원도 "민주당이 지난 총선과 대선에서 3당 체제로 유리한 경험을 했기 때문에, 어떻게든 3당 체제로 가보려 할 소지가 많다"고 가세했다.
이에 윤영일 의원은 독자생존을 전제로, 최대 관건인 정당 지지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묻기도 했다.
윤 의원은 "안철수가 '바른정당과 합당하면 지지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하기에, 내가 면전에서 확실하게 '아니다'라고 말했었다"며 "우리 당도 마찬가지다. 지지율을 올릴 수 있다, 올릴 수 있다고 이야기하면서도 결과가 그렇지 않고 최하위라 부끄럽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바둑은 두는 사람이 고수라고 해도 잘못 두는 경우가 있다"며 "방관하는 훈수꾼이 올바로 두고 있는지 더 잘 짚어줄 수가 있는데, 지지율을 올릴 수 있는 요인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전혀 끌어오지 못하고 있는 우리의 결정적인 문제점을 콕 찝어달라"고 요청했다.
이 질문에 대해 유 박사는 "평화당에 있어서 제일 급한 것은 존재감"이라며 "눈에 띄는 게 절반이고 그 다음이 잘하는 것인데, 눈에 띄지를 않으니 다음 이야기가 안 된다"고 단언했다.
나아가 "교섭단체가 아니니 비중 있게 다뤄주지 않는 것도 있겠지만, 지금까지 보면 악착같이 하는 것 같지가 않다"며 "다음 총선까지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악착같이 하면 상당히 달라질 수 있지 않겠느냐"고 조심스럽게 낙관적인 전망을 내비쳤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