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중소기업 10곳 중 7곳 “스마트공장 구축결과 만족”


입력 2018.11.13 12:00 수정 2018.11.13 10:53        김희정 기자

중기중앙회, 스마트공장 구축 실태조사 발표

672개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이 응답한 스마트공장 구축 만족도와 만족이유 ⓒ중소기업중앙회


중기중앙회, 스마트공장 구축 실태조사 발표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이 스마트공장 구축결과에 대해 만족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3일 발표한 672개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스마트공장 구축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70.2%가 스마트공장 구축결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 이유로는 ▲생산성 향상(46.3%) ▲공정 간소화(31.3%) ▲근로환경 개선(26.5%)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672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총 구축비용은 평균 1억5100만원이며 기업부담 투자비용은 총 구축비용의 63.4%(평균 9600만원)를 차지했다.

또한 매출액 200억원이 넘는 기업의 경우 총 투자비용의 67.9%를 투자해 매출액이 큰 기업일수록 구축비용과 기업부담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기계부품조립, 소성가공(단조‧압연‧압출‧프레스 가공 등) 순으로 기업부담 투자비용이 높았다. 기계부품조립의 경우 총 투자비용의 69.8%(1억3700만원), 소성가공의 경우 59.4%(1억1100만원)를 기업이 자체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별로는 기초>중간1>중간2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총 구축비용 역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스마트공장 구축 계획이 있는 기업은 53.6%(360개)로 나타났다.

한편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의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정부지원 규모 미흡(37.2%) ▲짧은 구축기간(11.2%) ▲전문인력 부족(5.7%) 등이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제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스마트공장확산추진단장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의 중소기업계 만족도 및 구축효과가 높은 만큼, 도입수준별 지원비용을 올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스마트공장 도입수준을 고도화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부 조달 참여시 구축 기업에 대한 가점부여 등 정책 인센티브 확충, 업종별 전문 대기업의 상생형 모델 참여 확대, 공급기업 경쟁력 강화 등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희정 기자 (hjkim051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