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시내면세점 특허 추가-하] ‘치킨게임 vs. 규모의 경제’..업계 엇갈린 시각


입력 2019.05.16 06:00 수정 2019.05.15 22:19        최승근 기자

중소‧중견 면세점 적자 행진에 대기업 계열 한화도 철수

대기업 계열 후발주자들 “규모의 경제 실현 할 수 있는 기회”

중소‧중견 면세점 적자 행진에 대기업 계열 한화도 철수
대기업 계열 후발주자들 “규모의 경제 실현 할 수 있는 기회”


정부의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 발급을 놓고 업계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자료사진)ⓒ데일리안 정부의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 발급을 놓고 업계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자료사진)ⓒ데일리안

정부의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 발급 결정을 두고 업계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가뜩이나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면세점이 더 늘어나면 치킨게임 양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의 시선이 있는 반면 후발주자들 사이에서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긍정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올해 대기업을 대상으로 서울 3개, 인천 1개, 광주 1개 등 총 5개의 면세점 신규 특허를 추가했다. 경쟁이 가장 치열한 서울만 놓고 보면 시내면세점은 연내 16개로 늘게 됐다. 4년 전인 2015년 6개와 비교하면 10개가 늘어난 셈이다.

사드 사태로 면세점의 큰 손인 중국 단체 관광객이 크게 줄기는 했지만 일명 보따리상으로 불리는 따이궁들의 구매행렬이 이어지면서 면세업계는 지난해 약 19조원의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송객수수료는 한 때 구매액의 40%에 육박하기도 했다. 시장 규모는 확대됐지만 수수료 등 지출도 늘면서 수익성은 오히려 악화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기존 면세 사업자들은 정부의 이번 발표가 달갑지 않다. 정부가 면세 특허를 남발해 시장 경쟁력을 낮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수년째 중소‧중견업체가 운영하는 서울 시내면세점은 적자를 지속하고 있다. 최근에는 대기업 계열인 한화갤러리아도 면세지장 철수를 결정하는 등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

중소‧중견 면세업체 관계자는 “롯데, 신라, 신세계 같은 상위 업체들 간 할인 경쟁이라도 벌어지는 날에는 손님 구경을 하기가 힘들다”며 “그렇다고 그들 수준으로 할인 정책을 펴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일각에서는 정부의 신규 특허 추가 결정이 상위 업체들의 독점 현상을 부추기는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관광객 유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해외 명품 브랜드의 경우 일정 국가나 도시에 제한적으로 매장을 내기 때문에 후발주자들의 경우 명품 브랜드를 유치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이들 브랜드를 유치하지 못하는 후발주자들은 경쟁력 측면에서 볼 때 메워지지 않는 격차를 안고 사업을 시작하는 셈이다.

하지만 이 같은 반대 입장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진행될 시내면세점 신규 특허 입찰에는 기존 업체들 대부분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면 입점 브랜드에 대한 구매 협상력도 높아지고, 마진율이 동반 상승하기 때문이다.

반면, 최근 시장에 뛰어든 후발주자들은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본다. 면세사업이 신고제가 아닌 허가제로 운영되는 만큼 언제 다시 신규 면허가 나올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이 같은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규모의 경제를 통해 수익을 내는 업종인 만큼 운영하는 매장이 많고 구매액이 클수록 제조사로부터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치열한 경쟁을 감당하기 어려운 중소‧중견 업체들 보다는 모기업이 탄탄한 현대백화점, 두산 같은 대기업 계열 면세점들이 여기에 속한다.

현재는 중국 정부와의 사드 갈등 장기화로 중국 단체 관광객이 줄어든 상황이지만, 문제가 해결되고 예전과 같은 수준의 관광객들이 밀려들어올 경우 면세점업이 다시 한 번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한 몫 하고 있다.

최승근 기자 (csk348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