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피해 중소기업 대상 유동성 지원…경재 안전망 역할 한다
일본계 저축은행 일본 자금 없지만 불매운동으로 퍼질까 눈치
은행 피해 중소기업 대상 유동성 지원…경재 안전망 역할 한다
일본계 저축은행 일본 자금 없지만 불매운동으로 퍼질까 눈치
일본이 우리나라를 백색 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면서 은행들은 수출 피해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금융당국은 ‘일본 수출규제 관련 금융 부문 점검 TF'를 통해 은행 중심의 피해기업 지원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일본계 저축은행은 일본에서 차입한 자금이 없어 유동성 등의 문제는 없지만 불매운동 확산되면서 브랜드 이미지 추락을 우려하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해 ▲수출규제 피해 중소기업 대상 유동성 지원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피해 예상 산업 협력사 대상 상생 대출 지원 등을 준비하고 있다.
은행은 일본 수출규제 피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유동성 지원하는 '경영안정 특별지원'에 나섰다. 기업들의 매출 감소를 고려해 신규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만기가 도래하는 여신에 대한 상환을 연장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피해 현황 등을 고려해 금리 우대 및 수수료 감면 혜택을 제공하기로 했다.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산업 협력사를 대상으로 '협력기업 상생 대출'을 통해 자금을 지원한다. 신한은행은 지난 31일 신한 소재·부품 전문기업 성장지원 대출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일본 수출규제 등에 따른 피해기업'의 경우 연 0.3%포인트, '소재·부품 전문기업'에 대해 연 0.5%포인트 우대금리를 제공하며, 기술혁신 중소기업인 '이노비즈 인증기업'의 경우 연 0.2%포인트 추가 우대금리를 제공해 최대 연 1.0%포인트까지 금리를 우대한다.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등도 자금지원 방안을 준비 중이다. 오는 3일 열리는 금융권 대책 회의를 통해 대처방안 등이 구체화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7월 이후 ‘일본 수출규제 관련 금융 부문 점검 TF’ 등을 통해 관련 문제를 점검해 왔는데 이번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에 따라 피해기업 등에 대한 지원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에 대해 기존 대출에 대해 만기를 연장해주거나, 신규 대출 시 우대 금리나 한도 확대를 제공하는 등 지원책을 마련 중"이라며 "원화와 원화에 대한 여신은 큰 문제 없어 바로 공급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일본계 저축은행은 눈치 보기에 바쁘다. 최근 일본 관련 불매운동 금융사 리스트에 일본계 저축은행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일본계 저축은행은 SBI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 JT저축은행, OSB저축은행 등으로 일단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 모두를 합해 일본에서 차입한 자금이 없다. 4개의 일본계 저축은행 역시 대출을 위한 영업자금으로 일본으로부터 차입한 금액은 0원이다.
현재까지 불매운동으로 인한 일본계 저축은행의 피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들은 화이트리스트 배제 발표 이후 혹시 벌어질지 모르는 상황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본계 저축은행 관계자는 "여·수신 금리가 다른 금융사는 물론 경쟁 저축은행에 비해 경쟁력이 있어 고객이탈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불매운동 리스트에 포함되는 등 그동안 쌓아 올린 브랜드 이미지가 훼손되는 것은 걱정"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