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공동주택단지 플랫폼’ 선봬…앱으로 단지 내 투표까지
기존 서비스 ‘스마트홈 3.0’으로 확대·개편
주차위치 조회·엘리베이터 호출 기능 제공
기존 서비스 ‘스마트홈 3.0’으로 확대·개편
주차위치 조회·엘리베이터 호출 기능 제공
SK텔레콤은 주거 공간 내 각종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을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제어하는 기존 스마트홈을 ‘공동주택단지 플랫폼’으로 확대·개편했다고 26일 밝혔다.
새롭게 확대·개편된 스마트홈 3.0 서비스를 통해 입주민들은 ▲공동 현관문 자동 출입 ▲주차위치 확인 ▲무인택배 도착 알림 ▲단지 내 투표 ▲공용시설 예약 등 다양한 기능을 앱에서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홈 3.0이 적용된 공동주택단지에 거주하는 입주민들은 SKT 스마트홈 앱 내에서 인증한 뒤, 다양한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다.
입주민이 스마트폰을 가지고 출입문 이용 시 자동으로 문이 열리고, 1층으로 엘리베이터가 호출된다. 앱에서 방문 차량 번호를 등록하면 출입 차단기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입주민들은 주차위치 조회, 차주 연락처 조회, 무인 택배 도착 알림, 에너지 원격검침 및 사용량을 앱을 통해 조회할 수 있으며, 단지 내 헬스장, 골프연습장 등 공용 시설도 예약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마트홈 3.0에는 ▲놀이터 친구 매칭 ▲양해 문자 ▲단지 소모임 ▲이웃 간 재능 공유 ▲카풀 모집 등 공동주택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이 탑재돼 있다.
SK텔레콤 스마트홈 3.0은 신축 아파트와 오피스텔뿐만 아니라 기축 건물에도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다. 기존에는 공동주택단지의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대규모 유선공사를 진행해야 스마트홈 기능을 이용 가능했으나, 스마트홈 3.0에서는 유선공사를 최소화한 시스템을 도입해 기축 건물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광주 ‘효천씨티 프라디움’, 파주 ‘월드타워 월드스테이 8차 오피스텔’, 하남 미사 ‘우성 르보아 파크‘ 등 신축 단지를 비롯, 17년차 기축 건물인 서울 도봉구 ‘삼성 래미안 아파트’에 스마트홈 3.0을 적용 완료했다.
스마트홈 3.0 적용을 희망하는 공동주택은 관리사무소나 대표가 스마트홈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서비스 이용 확산을 위해 별도 공지 전까지 세대별 이용료를 부과하지 않을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올해 말까지 스마트홈 3.0에 ▲세탁·세차 등 지역 별 온·오프라인 연계(O2O) 서비스 ▲주변 상권정보를 연계한 커머스 서비스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NUGU)와 연계한 다양한 시나리오 서비스 확대 등을 적용할 예정이며, 다양한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고객 가치를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홍승진 SK텔레콤 AI홈유닛(Unit)장은 “지난 2년간 약 100만개 기기를 연동하고 10만세대 아파트에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고객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해 왔다”며 “향후에도 앞선 서비스와 외부의 다양한 생활형 서비스들을 연계해 대한민국 대표 공동주택 플랫폼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