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65세 이상 인구 800만명 돌파…평균연령 42.6세 


입력 2020.01.12 15:04 수정 2020.01.12 15:04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2008∼2019 주민등록인구 현황.ⓒ행정안전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가 800만명을 돌파했다. 인구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보이며 제자리걸음을 한 가운데 고령화 추세는 더욱 빨라지는 모습이다.


12일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모두 5184만9861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대비 2만3802명(0.05%) 늘어난 수치다.


평균연령은 42.6세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가 처음으로 800만명을 돌파했다.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와 15∼65세 생산가능인구는 줄면서 고령 인구와 유소년 인구수 격차는 156만명으로 커졌다.


지난해 주민등록인구 증가율과 증가 인원은 정부가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공표하기 시작한 2008년 이후 최저치다.


주민등록인구 증가율은 2009년 0.47%(증가인원 23만2778명)에서 2010년 1.49%(74만2521명)로 올랐다가 이후 계속 하락하고 있다. 평균연령은 42.6세로 2008년 이 통계 공표 시작 이래 가장 높았다. 주민등록인구 평균연령은 2008년 37.0세에서 꾸준히 높아져 2014년(40.0세)에 40세, 2018년(42.1세)에는 42세로 올라갔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가 전년도보다 19만967명 줄었다. 0∼14세 유소년인구는 16만1738명 감소했다.


이에 비해 고령인구인 65세 이상은 37만6507명 증가하며 처음으로 800만명을 넘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802만 6915명)와 유소년인구(646만 6872명)의 격차는 156만명으로 2018년(102만명)보다 크게 벌어졌다.


연령대별로는 40대 이하는 모두 인구가 감소했고 50대 이상은 증가했다. 연령대별 분포는 40대(16.2%)와 50대(16.7%)가 전체 인구 3분의 1가량을 차지했다. 60대 이상이 22.8%였고, 10대 이하 17.6%, 30대 13.6%, 20대 13.1% 순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시·도 중에서 서울, 부산, 대구, 전북, 대전, 전남 등 12곳의 인구가 감소했다. 이에 비해 경기, 세종, 제주, 인천, 충북 등 5곳은 인구가 많아졌다. 시·군·구 중에서는 경기 부천, 인천 부평, 경기 성남 등 163개 곳에서 인구가 줄고 경기 화성, 시흥, 용인 등 63곳은 증가했다.


지역별 평균연령이 전체 평균보다 낮은 곳은 세종(36.9세), 광주·경기(40.8세), 울산(40.9세), 대전(41.3세) 등 7곳이다. 반대로 전남(46.2세), 경북(45.6세), 강원(45.3세), 전북(44.9세), 부산(44.5세) 등 10개 시·도는 지역 평균연령이 전체평균보다 높았다.


성별 주민등록 인구는 여자가 50.1%, 남자는 49.9%였다. 50대 이하에서는 남자 인구가, 60대 이상에서는 여자 인구가 더 많았다.

원나래 기자 (wiing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