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페이스북
X
카카오톡
주소복사

[코로나19] "자택추적도 불사"…정부‧여당, '이태원 집단감염'에 초비상


입력 2020.05.12 00:20 수정 2020.05.12 09:24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광범위한 지역감염 갈림길에 서있어"

카드 사용내역·휴대폰 위치추적 등 '고강도 대응' 이어질 듯

추가 확산시 '생활방역'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전환해야 할 수도

지난 3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시 구로구의 한 빌딩 출입문에 폐쇄명령서가 붙어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지난 3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서울시 구로구의 한 빌딩 출입문에 폐쇄명령서가 붙어있다(자료사진).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이태원 클럽' 관련 코로나19 확진자가 90명을 넘어선 가운데 정부‧여당이 고강도 대책을 통해 추가 전파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환자 조기 발견을 위해 자택 방문 추적 가능성까지 언급하고 나섰지만,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우려를 제기해 온 '황금연휴 여파'와 '은밀한 지역감염 가능성'을 과소평가했다는 지적은 피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수천 명으로 추정되는 (이태원 클럽) 방문자들을 신속하게 찾아내 진단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면서도 "아직도 상당수는 연락이 되지 않고 있고, 검사율은 절반이 채 되지 않는다. 협조가 늦어질 경우 전체 안전을 위해 보다 강도 높은 대책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태원 클럽 집단감염과 관련해 "(클럽 방문자들이) 자진해서 오지 않는다면 반드시 찾아갈 수밖에 없다"며 "유흥시설을 이용한 분들과 주변 지인들은 지금이라도 검사장으로 와주기 바란다. 그것이 여러분의 임무"라고 강조했다.


방역 당국과 서울시 등이 확보한 클럽 방문자 명단에 따르면 황금연휴 기간 5517명이 전파가 일어난 이태원 클럽에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10일 오후 10시 기준 방문자의 56.4%에 달하는 3112명이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다. 연락처 허위 기재, 고의적인 전화 회피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환자 가족과 직장동료 등 2차 전파 사례가 속속 확인되고 있어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한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상당수 환자가 "서울·경기·인천 지역 감염자이기 때문에 지금 광범위한 지역확산으로 가느냐 아니냐 갈림길에 서있다"며 "연락 닿지 않으면 경찰청과 협력해서 강력한 추적 조치에 나설 계획이다. 신용카드 사용내역, 폐쇄회로(CC)TV 기지국을 사용해 해당 시간 클럽 방문자에 대한 자택 방문 추적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지방경찰청은 이날 이태원 클럽 출입자 신원과 소재를 파악하기 위해 2162명이 배치돼있는 '코로나19 신속 대응팀'을 투입하기로 했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고강도 대응책이 예고된 상황이지만, 방역 당국은 적어도 이번 주까지 관련 환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태원 유흥시설이 대부분 2일부터 6일 사이에 운영됐다”면서 "평균 잠복기를 고려하면 7일부터 13일 사이, 이번 주에 발병이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생활방역, 위험도 분류해 단계적 일상복귀 했어야"
"확산 지속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수밖에 없어"


전문가들은 지난 6일부터 시작된 '생활 속 거리두기(생활방역체계)' 도입이 방역 성과를 뽐내는 수단으로 활용된 측면이 있었다고 지적하며 방역 정책 미세조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생활방역으로 넘어간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확진자가 늘어날 것을 예상하고 들어가야 되는 것"이라며 "국민들께 당부를 아주 잘하고 시작이 됐어야 하는데, 생활방역 발표 당시 약간 '우리가 생활방역으로 넘어갈 수 있는 그런 좋은 상태다'하는 축제 분위기 같은 상황이 됐었다"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생활 속 거리두기 도입과 관련해 "정부가 기본수칙·보조수칙 등 분야별 수칙은 내놨지만 상황·장소에 따른 위험도 분류를 하지 않았다"며 "단계적 접근을 하지 않은 '방법론'에 문제가 있었다. 위험도 평가에 따라 확산 우려가 높은 유흥시설을 가장 늦게 연다든지 했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이태원 집단감염을 계기로 지역사회 은밀한 전파 가능성이 현실화 한 만큼 향후 확산세가 지속될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로 방역 정책이 회귀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이 교수는 "청년들이 모여 집단 발병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건 지역사회 내에서 숨은 감염이 계속 발병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지금의 유행 상황들이 한동안 유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질단발병이 만약 연쇄적으로 발생하면 사회적 거리두기로 다시 돌아가지 않고는 지역사회 유행을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강현태 기자 (trustm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