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논란, 시민단체 행태 돌아볼 수 있는 계기"
"위안부 할머니 없는 위안부 운동 생각할 수 없어"
문재인 대통령은 8일 이용수 할머니의 폭로에서 시작된 이른바 '윤미향 사태'에 대해 "이번 논란은 시민단체의 활동 방식이나, 행태에 대해서도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정의기억연대 후원금 유용 의혹 등과 관련한 각종 논란에 대해 문 대통령이 언급한 건, 이 할머니의 지난달 7일 첫 기자회견 이후 한 달 만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일각에서 위안부 운동 자체를 부정하고 운동의 대의를 손상시키려는 시도는 옳지 않다. 피해자 할머니의 존엄과 명예까지 무너뜨리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위안부 운동을 둘러싼 논란이 매우 혼란스럽다. 제가 말씀드리기도 조심스럽다"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위안부 운동의 대의는 굳건히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안부 운동 30년 역사는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여성 인권과 평화를 향한 발걸음이었다"면서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키려는 숭고한 뜻이 훼손돼서는 안된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최초로 자신이 위안부임을 고백한 고(故) 김학순 할머니를 언급하며 "피해 당사자들이 침묵의 벽을 깨뜨리고 '내가 살아있는 증거'라고 외쳤고 거리에서 법정에서 국내와 국제사회에서 피해의 참상을 알리고 정의로운 해결을 호소했다"며 "세계 곳곳의 전시 성범죄 피해자들에게 큰 용기를 줬고 유엔을 비롯해 국제사회의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내고 전세계적인 여성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됐다"고 평가했다.
"李할머니, 위안부 운동의 역사"
정의연 의혹을 폭로한 이 할머니에 대해선 "위안부 운동의 역사다. 위안부 문제를 세계적 문제로 만드는데 지대한 역할을 하셨다"며 "미 하원에서 최초로 위안부 문제를 생생하게 증언함으로써 일본 정부의 사과와 역사적 책임을 담은 위안부 결의안 채택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프랑스 의회에서도 최초로 증언했고 연세 90의 노구를 이끌고 위안부 기록물의 유네스코 등재를 촉구하는 활동도 벌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우리는 위안부 할머니가 없는 위안부 운동을 생각할 수 없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은 참혹했던 삶을 증언하고 위안부 운동을 이끌어온 것 만으로도 누구의 인정도 필요없이 스스로 존엄하다"고 강조했다.
정의연이 30년 동안 진행해 온 수요집회에 대해선 "시민사회의 많은 활동가들이 연대했고 시민들도 다같이 힘을 보탰다. 어린 학생들까지도 수요집회에 참여했고 위안부 문제를 숨겨진 과거로 만들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며 "30년간 줄기차게 피해자와 활동가, 시민들이 함께 연대하고 힘을 모은 결과 위안부 운동은 세계사적 인권 운동으로 자리매김 했다. 결코 부정하거나 폄훼할 수 없는 역사"라고 했다.
이어 "위안부 운동은 지금도 현재 진행형이다. 피해자들의 상처는 온전히 치유되지 못했고 진정한 사과와 화해에 이르지 못했다"며 "역사적 진실이 숨김없이 밝혀지고 기록되어 자라나는 세대와 후손들에게 역사적 기록으로 새겨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부금 통합 시스템 구축…모금 활동 투명성 강화 지시
이에 문 대통령은 "'비온 뒤에 땅이 굳는다'는 말이 있다. 지금의 논란과 시련이 위안부 운동을 발전적으로 승화시키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며 "정부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기부금 통합 시스템을 구축해 기부금 또는 후원금 모금 활동의 투명성을 근본적으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자신이 낸 기부금이나 후원금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투명하게 알 수 있다면 국민들의 성의가 바르게 쓰이게 되고 기부 문화도 성숙해질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도 투명하게 관리하겠다. 시민단체도 함께 노력해주길 바란다. 국민들께서도 시민운동의 발전을 위해 생산적 논의가 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