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에 그치지 않고 경제 구조에 큰 변화 불러올 것"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이하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이후에도 상당 기간 저(低)인플레이션 현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총재는 25일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은 단순히 경기침체를 초래하는 데 그치지 않고 경제주체의 행태와 경제 구조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예측된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0.4%보다 0.1%포인트 더 떨어진 수치다. 아울러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인 2.0%를 크게 하회하는 수치다.
이 총재는 "향후 코로나19의 확산이 진정되더라도 물가 흐름에 구조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관측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역사적 경험에 비춰볼 때 가계와 기업은 대규모 감염병이나 경제위기를 겪은 후 미래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빚을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며 "특히 위기상황에서 대규모 해고, 매출 급감을 경험할 경우 극단적 위험회피성향을 갖는 이른바 슈퍼세이버가 증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경우 해당 경제주체의 재무 건전성은 개선될 수 있으나 경제 전체적으로는 성장의 한 축이라 할 수 있는 소비와 투자의 회복이 더욱 더뎌지고 이는 다시 물가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또 "이번 사태를 계기로 온라인 구매나 배달서비스에 친숙하지 않던 분들도 원격서비스의 편리함을 경험하게 되면서 비대면 온라인 거래의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며 "비대면 온라인 거래의 확산은 거래비용을 절감하고 업체 간 경쟁을 유도해 물가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감염병의 확산으로 생산차질을 경험한 기업들은 무인화나 자동화를 더욱 서두를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생산성이 개선되고 인건비가 절감되면서 물가 하방압력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고 봤다.
반면 이처럼 하방압력이 크기는 하지만, 한편으로는 물가를 높일 수 있는 요인들도 상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총재는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해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막대한 규모의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며 "크게 확대된 유동성이 코로나19가 진정된 이후 억압됐던 소비의 회복과 결합될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리쇼어링과 역내교역 강화, 인적교류 제한 등에 따른 기존의 글로벌 공급망 약화도 물가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