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수자원공사, 장비 집중투입…2주 내로 수거 처리
최근 발생한 집중호우로 대청댐 등 전국 12개 댐 유입된 부유쓰레기가 1만7000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굴삭기 등 장비를 집중 투입해 2주 내로 수거 처리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환경부(장관 조명래)와 한국수자원공사(사장 박재현)는 최근 내린 집중호우로 대청댐 등 전국 댐에 유입된 부유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수거 처리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번 집중호우 기간(7월 12~15일) 중 전국 12개 댐에 약 1만7000톤(㎥) 가량 부유 쓰레기가 유입됐다. 특히 대청댐(1만1000톤) 구간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유입된 부유물은 약 80%가 하천변에 있던 풀, 고사목 등 초목류다. 나머지는 둔치 등에서 발생된 생활 쓰레기로 추정된다.
최근 5년간 홍수기에 전국 댐에 유입된 부유물은 연평균 약 7만톤이다. 여름철 집중 강우 기간 및 태풍 유무에 따라 발생량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댐에 유입된 쓰레기 대부분은 부유물 차단망 내에 있기 때문에 수거 선박, 굴삭기 등 장비를 집중 투입하면 2주 내로 모두 수거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수거된 부유물을 종류별로 분류해 생활쓰레기 중 캔, 유리병, 페트병 등을 최대한 재활용하고 나머지 생활쓰레기는 신속히 처리할 방침이다.
한편 환경부는 집중호우 시 부유물 유입량을 사전에 줄이기 위해 해양수산부와 합동으로 장마철 대비 쓰레기 정화주간(6월 22~28일)을 운영해 생활쓰레기 약 6200톤을 수거한 바 있다.
박미자 환경부 물환경정책국장은 “깨끗하고 건강한 식수원을 국민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번 집중호우에 따른 신속한 정화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지자체와 합동으로 주요 관광지와 부유물 발생원을 점검하는 등 부유물 유입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