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조8122억원...코로나19·비수기 영향으로 모듈 판매 감소
하반기 주요 거래선 신제품 출시 및 5G용 부품 공급 확대 기대
삼성전기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비수기 영향으로 2분기 실적이 감소했다. 하반기 주요 고객사 신제품 출시와 부품 공급 확대로 반등을 노린다.
삼성전기는 28일 공시를 통해 2분기 실적으로 매출 1조8122억원과 영업이익 960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와 비교하면 각각 5%와 41% 감소한 것으로 전 분기에 비해서도 각각 19%와 42%가 줄어든 수치다.
회사측은 이러한 실적 부진에 대해 코로나19와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카메라 및 통신모듈 공급이 크게 감소했고 주력제품인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의 평균판매가격(ASP) 하락과 모바일 수요 약세로 영업이익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모듈부문이 크게 악화된 가운데 컴포넌트와 기판 부문도 전 분기에 비해서는 줄었다.
모듈 부문은 전략 거래선의 카메라모듈 및 통신모듈 공급 감소로 매출이 6048억원에 그치며 전분기 대비 38%, 전년동기 대비 27% 감소했다.
컴포넌트 부문은 코로나19에 따른 필리핀 락다운 영향에도 불구하고 MLCC 매출은 증가했으나 전자소자의 공급 감소로 사업부 매출은 전분기 대비 2% 감소했다. 그러나 비대면 서비스 관련 PC, 서버 및 게임기용 MLCC 공급이 늘어 전년 동기 대비로는 7% 증가한 839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기판 부문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용 경연성인쇄회로기판(RFPCB) 공급 감소로 전분기 대비 4% 감소했지만, PC 중앙처리장치(CPU) 및 그래픽 D램용 패키지기판 매출 확대로 전년동기 대비 20% 증가한 3678억원을 올렸다.
삼성전기는 2분기 실적 감소에도 하반기 반등을 자신했다.
하반기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카메라모듈 실적이 전년동기에는 못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플래그십 신모델용 고사양 카메라 공급 확대로 2분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MLCC와 반도체 패키지 기판, RFPCB 등은 주요거래선의 신모델 출시와 5세대이동통신(5G)기기 보급 확대, PC 및 게임기용 수요 증가로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모듈부문은 전년동기 대비 스마트폰 수요 회복이 불확실할 것으로 전망되나 고화소·광학 줌 기능이 탑재된 고사양 카메라 판매 확대 및 5G 안테나 모듈 신규 공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컴포넌트부문에서는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및 5G 보급 확대로 소형·고용량 MLCC 시장 성장이 예상되며 PC 및 게임기용 제품 수요 또한 견조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판부문에서는 신규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로 RFPCB 매출 확대가 예상되며 안테나용 및 SiP 등 5G용 기판 공급도 확대할 계획이다.